이상민 의원 교과부 국감 자료
도내 주요 대학에서 도중에 학업을 중단한 학생의 절반 가까이는 이공계생인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지원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8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이상민 의원(민주통합당)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받은 국감자료 '2009~2011년 국립대학 이공계 자퇴생 현황'에 따르면 전북대는 최근 3년간 전체 자퇴생 중 이공계생 비율이 65.1%(680명)로 도내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군산대 58.7%(582명),원광대 42.8%(716명), 우석대 37.3%(314명), 호원대 36.9%(237명), 전주대 36.8%(237명) 등의 순이다.
전북대와 군산대는 전체 자퇴생 10명 중 6명은 이공계생인 셈.
이처럼 이공계생들의 자퇴 비율이 높은 것은 이들의 졸업후 진로가 불투명하기 때문.
실제로 국내 박사후 연구원의 50% 이상이 5년 넘도록 정규직에 취업하지 못하고 있다. 어렵게 취업 관문을 뚫더라도 비정규직 신분인 것.
이상민 의원은 "과학기술에 대한 비전을 높이고, 이공계에 대한 특단의 정부지원이 절실하다"라며 "등록금 인하, 장학금 수혜율 제고 등 실질적 혜택을 주는 방안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같은 기간 전국 국립대의 이공계생 자퇴 비율은 66.2%이며, 사립대의 경우 35.7%로 집계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