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화 실현과 투표시간 연장 등에 대해선 목소리를 높이면서도 농촌문제에 대해선 이렇다할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
"대선 후보들은 농촌 문제에 대해 별다른 관심이 없는 것 같습니다. '농촌 표'가 대세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두 자녀를 관내 초등학교과 고등학교에 보내고 있는 김 씨는 아이들이 커가면서 도시로 진학을 시켜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농촌만이 가진 특색있는 교육환경을 보며 농촌학교의 미래가 어둡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실제로 전북도교육청이 최근 농산어촌 작은학교 학부모 537명을 대상으로 농촌학교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조사한 결과, 초등생 학부모 75.2%, 중학생 학부모 61% 등 68%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이 같은 배경에는 특색있는 교육과정, 자연친화적 교육환경, 인성교육 중시 등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김 씨는 교육기반이 약한 농촌에서 언제까지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을지 막막하다.
"농촌의 교육, 문화, 경제 등 기반 환경이 제대로 자리를 잡을 때 귀농인구가 늘어납니다. 이를 위해선 제도적 뒷받침이 우선돼야 하는데 대선 후보들은 농촌 문제를 시혜적 관점에서만 풀려합니다."
대선 후보들이 저마다 귀농인구를 늘리겠다며 생활자금 지원, 쌀 직불금 인상 등의 선심성 공약만 내놓고 있다는 것.
"이는 당장의 가시적 효과는 볼 수 있지만, 농촌에서 뿌리를 내리고 자란 지역주민들에게 상대적 박탈감만 안겨줍니다. 농촌 문제를 경제적 관점에서 벗어나 공익적 가치와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접근해야 합니다."
그는 대선 후보들에게 농촌과 농촌학교를 살릴 세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 소농육성과 자연환경보전 △ 지역교육복지네트워크 구성 △ 전통문화를 활용한 컨텐츠 개발 등이다.
우선 대농을 위한 정책을 폐기하고 다품종 소량생산을 장려해 소농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
"대농위주 정책은 작물 경작 실패에 따른 위험 부담이 너무 큽니다. 지속가능한 농업인 육성을 위해선 소농 위주 정책을 장려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의 교육시설과 프로그램, 강사 등 인적·물적인 자원을 연계한 협동교육으로 교육복지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교육은 행정과 함께 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지방자치단체와 지역교육지원청이 협력해 도시권 청소년들을 위한 농촌체험 프로그램 개발, 공교육대안학교 운영, 청소년문화센터 확충 등을 통해 교육복지의 질을 높여야 합니다."
이어 "농촌이 가진 쾌적한 자연환경을 활용해 청소년들이 자연의 순환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줘야 합니다. 농사와 숲에 대해 기초교육을 하는 학습장을 통해 자연의 소중함에 대해 깨닫게해야 합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