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라북도'를 명품 브랜드로

백승만 전주상의 전북지식센터장

어느 날 저녁 한가로이 TV를 보고 있는데 이제 막 중학교에 들어간 아들녀석이 한자숙제를 봐달라고 내 앞에 내밀었다. 한참을 알려주다 '情'자를 앞에 놓고 무슨 뜻이냐고 물었더니 고개만 갸웃거린다. 기다리다 못해 닥달하니 히죽 웃으면서'초코파이'라고 한다. 순간 열불이 나면서도 나도 모르게 웃음이 터져 나왔다. 중학생 아들녀석에겐 情은'초코파이'다. 일촉즉발의 싸늘한 분위기를 한방에 후~욱 보내버렸다.

 

정말이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브랜드를 접하고 또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아침에 눈을 떠 잠자리에 들 때까지 수많은 브랜드 속에서 끊임없는 선택을 하며 살아간다. 브랜드에 끌리면 가격이 조금 비싼 것 쯤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소비자는 기꺼이 선택하게 된다.

 

과히 브랜드 춘추전국시대다. 이제는 기업뿐만 아니라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브랜드가 활성화돼야 지역이 발전한다는 인식하에 지역 농특산물브랜드 및 지역특화 전략산업을 육성하는데 온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전국 농축산물 브랜드가 약 5000여개에 달하고, 뚜렷이 차별화되거나 특화된 브랜드가 많지 않아 성공하기는 쉽지 않다. 무엇보다도 창출 및 개발은 활발히 이루어지는데 반해 차별성 및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대표적인 농산물 브랜드 성공사례로 꼽히는 뉴질랜드의 키위 생산자협회 공동브랜드'제스프리'와 미국 오렌지 브랜드'선키스트'의 경우에서 보듯이 이들은 절체절명의 위기의 순간에 차별화된 브랜드 마케팅 전략으로 글로벌 브랜드를 만들어냈다.

 

최근 전라북도를 비롯한 우리지역 시군 지자체에서도 경쟁력있는 우수브랜드 육성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창 복분자, 순창 고추장, 장수 사과, 완주 곶감, 남원 허브, 진안 홍삼, 정읍 구절초, 순창 블루베리 등 풍부한 농산물이 있고 전주한옥마을, 부안 마실길, 김제 지평선 축제 등 다양한 지역 문화 콘텐츠가 있다.

 

이처럼 많은 지역브랜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 특산물은 물론 지역을 대표하는 CI, 캐릭터, 슬로건 및 역사적인 문화예술자원, 지역 축제, 지역의 자연경관 등에 이르기까지 지역 전체를 표현할 수 있는 차별화된 이미지를 창출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무리 지역자원이 상품성이 있다 하더라도 타지역과 구분되는 독특한 지역 이미지와 결합되지 않는다면 차별화된 지역브랜드로서 성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미국 바구니회사 '롱거버거'는 손으로 만든 수제바구니만을 갖고 1조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8,700명의 직원과 판매원 7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롱거버거 사옥은 손잡이까지 달린 대나무바구니 그 자체다. 전국에서 이 독특한 건물을 보기 위해 오하이오 촌구석까지 관광객이 몰려들고 있다고 한다.

 

모 방송 개그프로그램에서'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고 사회비판적 행태를 꼬집는 코너가 있었다. 싫든 좋든 그게 세상 인심이다. 브랜드 세계에서만은 냉혹한 현실임에는 분명한 것 같다. 전통없는 혁신은 실패하고, 혁신없는 전통은 사라진다. 마케팅 없는 브랜드는 상품이 안 되고 브랜드 없는 마케팅은 명품이 안 된다. 전통과 혁신, 브랜드와 마케팅의 창조적 통합만이 명품 지역브랜드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역의 기반시설도 함께 개발함으로써 지속적인 상승효과를 노려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만이 주체가 아니라 지역주민과 지역의 모든 구성원들이 지역브랜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함께 참여해 적극적인 후원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언젠가는 내가 살고 있는 5000만 마음의 고향 전라북도가 세계적인 명품도시로 전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을 날도 먼 꿈은 아닐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이틀째 밤샘수색에도 울산화력 실종자 2명 못찾아…수색 계속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노인 임플란트 지원근거 마련

김제김제시 자전거 서포터즈 ‘따르릉 탐험대’ 발대식

임실제10회 임실 아삭아삭 김장페스티벌 SNS에 참여하세요

정치일반[안성덕 시인의 ‘풍경’] 모래톱이 자라는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