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방침에 일부 학교 시간표 등 변칙 운영 / 학부모 만족 조사 학생 의견·소문에 의존 우려
전북에서 처음 실시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이하 교원평가)가 '참여 높이기'에 급급한 나머지 일부 학교에서 변칙 운영등이 이뤄져 부실 우려를 낳고 있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전북 지역 초·중·고교 746곳을 대상으로 지난 1일부터 교사들의 자질을 검증하기 위한 교원평가를 진행 중이다. 2010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교원평가는 동료교원 평가와 학부모 만족도조사(이상 전 학년 대상), 학생 만족도조사(초등 4년~고교 3학년 대상) 등으로 구성됐다.
전북 지역의 경우 도교육청이 '각 학교가 자율적으로 정하되 교장·교감은 평가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을 고수해온 탓에 교육부와 법정 공방을 벌이는 우여곡절을 거친 뒤 올해 처음 교원평가를 수용한 상태다.
하지만 도내 일부 학교에서는 '교원평가의 참여율을 높여 달라'는 교육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전혀 관련이 없는 과목수업을 평가시간으로 대체하거나 평가대상을 임의로 조정하는 등 변칙 운영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 돼 논란이 일고 있다.
실제로 일부 학교의 경우 교원평가 관리자가 교사의 요청으로 점수에 불리한 학급을 빼는 경우가 있다는 것.
한 중학교 교장은 "모든 학급이 평가대상이 돼야 하나 담당자에게 평소 잘 아는 교사가 와서 선호하지 않는 학급은 빼달라고 요청하면 거절하기 힘들다"면서 "이를 악용해 평가 점수를 높이는 교사들이 나올 수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학생들을 엄격하게 지도하는 생활지도 교사들의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학부모 만족도 조사도 학생의견과 소문에 따르는 '귀동냥 평가'로 흐르는 등 불공정한 평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한 고교 교장은 "교원평가 결과에 따라 교원능력향상 연수 대상자로 선정된 교사들은 '능력이 떨어지는 교사'라는 낙인 찍히는 부작용도 낳고 있어 교원평가의 대대적 수술이 요구되고 있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