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 녹화 영상 화질 떨어져 제역할 못해 / 여교사들 입주 꺼려…종합적 실태파악 필요
전북지역 교직원들의 편의를 위해 지어진 관사 가운데 상당수가 각종 범죄나 사고에 무방비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교육계 안팎에서는 효율적인 관사 관리를 위한 후속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전북지역의 관사는 411개동 1165곳으로, 이 가운데 보수해야할 관사는 169곳, 양호한 관사는 964곳이다.
현재 교직원 관사에는 4558명이 입주해 있으며, 1213명이 관사 입주를 희망하고 있는 상태다. 학교 관사는 자택에서 비교적 원거리로 발령받은 교직원들의 편의를 위해 지어졌으며, 도시지역보다는 농어촌지역 학교에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적지않은 교직원들이 관사를 이용하고 있는데도, 지역마다 관사의 수요와 공급 예측을 정확하지 못한 탓에 일부 지역에서는 관사부족난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여교사가 남교사를 앞지르는 여초(女超)현상과 맞물려 젊은 여교사들이 관사를 이용하는 사례가 갈수록 늘고 있는 반면 각종 범죄에 대한 예방책은 취약해 ‘관사=범죄사각지대’라는 우려의 목소리를 낳고 있다. 또 범죄예방을 목적으로 설치된 일부 관사의 CCTV의 경우 녹화된 영상의 화질이 떨어져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일부 여교사들은 관사 입주를 자제하는 대신 인근 아파트나 주택에 사비를 들여 임대를 얻는 경우도 적지않은 실정이다.
실제로 지난해 2월에는 순창교육청 관사에서 잠을 자던 여교사가 중태에 빠지는 안전 사고가 발생했다. 사건 발생 후에도 당국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지 못했으며, 관사 건물 2층 보일러의 그을림을 토대로 보일러 가스 누출사고라고 추정하는 데 그쳤었다.
그런가 하면 일부 학교에서는 교장과 교감 등 상급자가 관사를 임의로 사용하는 경우도 없지 않으면서 평교사들과 신경전을 벌이는 사례도 있다는 것.
이에 따라 전북교육청 차원에서 교사가 안심하고 근무할 수 있도록 도내 각급 학교 관사에 대한 범죄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실태파악 및 대책수립과 아울러 관련예산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관사에 대해서는 대기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지침을 바꾸는 방안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도내 농어촌 지역에 근무하는 한 교사는 “안전 문제에 신경쓰는 교사들은 아예 처음부터 자부담이 들더라도 임대를 하려고 해 학교 근처 임대 아파트 순번을 기다릴 정도”라며“관사 관리 등을 투명하게 보강했으면 좋겠다”고 불안감을 숨기지 않았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예산확보 한계 탓에 관사 운영에 어려움 있는 것 사실”이라며“범죄예방에 취약하다는 지적과 점유문제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점검을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