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기 요금을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일 국회 한선교 의원(새누리당·경기 용인 병)이 교육부에서 받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학교 운영비와 전기요금이 줄어드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교육청은 지난 2013년에는 260억원, 지난해에는 238억원을 썼다. 올해는 소폭 늘어난 263억원을 전기요금 예산으로 책정했다.
전기 사용량은 2013년에는 18만9290MWh, 지난해에는 17만5825MWh였다.
이를 놓고 “무상급식 등 복지 탓에 학교 현장의 냉방 비용이 줄어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방학 중에 등교하는 학생들이 있는데, 폭염에도 에어컨 가동이 안 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판단을 두고 근거가 약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시설과 관계자는 “지난 2013년에 핵발전소가 가동 중지되는 등 전력 공급에 문제가 생기자 교육부에서 전국 학교를 대상으로 효율화 사업을 진행했다”면서 “최대전력관리장치 및 대기전력차단장치 등을 설치한 효과로 전력 사용량이 줄어든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