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대 한윤봉 교수, 차세대 태양전지 수명 개선 소재 개발

 

전북대는 한윤봉 교수(화학공학부) 연구팀이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와 유기 태양전지의 광전류 밀도 및 수명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나노복합소재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저렴한 가격으로 성능이 향상된 태양전지를 상용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 교수팀의 연구 논문은 에너지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Nano Energy’ 9월호와 10월호(온라인판)에 잇따라 실렸다.

 

대학 측에 따르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저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발전효율이 높아 주목을 받고 있지만, 공기에 노출됐을 때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 교수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끝에 산화니켈(NiO) 나노입자와 페로브스카이트를 하이브리드한 나노 복합소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대기 중에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만들어도 공기 안정성이 우수하여 60일 이상 지나도 소자 수명이 90% 이상 유지되는 성과를 얻었다.

 

한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전략연구) 및 BK21플러스 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김종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