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투표결과 겸허히 수용”, 교육청 “의견수렴 절차 밟은 것”
두 기관 모두 찬반투표 결과 수용. 에코시티 고교 신설 ‘사면초가’
도교육청, 학교 신설 놓고 대안 고심중. 정치권 나서 신설 이뤄내야
전북사대부고의 에코시티 신설·이전 찬반투표에서 전북대와 전북교육청이 참패를 한 가운데 에코시티 고교 신설 문제가 다시 지역 현안으로 떠올랐다.
전주 신흥 개발지구인 송천동 에코시티에는 수많은 인구가 유입돼 남녀가 같이 다닐수 있는 남녀공학 고교 신설이 필수적이다. 이런 가운데 전북대와 전북교육청은 학교 이전과 관련한 차후 입장에 말을 아끼고 있다.
전북대는 “학생·학부모·교직원의 투표 결과를 겸허히 수용한다”고 했고, 전북교육청은 “전북사대부고 이전과 관련한 발표는 전북대의 몫”이라는 입장이다.
전북교육청과 전북대학교·전북사대부고 학교이전 TF팀은 지난달 27일 에코시티로의 학교 이전 찬반을 묻는 투표를 진행했고, 그 결과 투표에 참여한 학생·학부모·교직원 총 1422명 중 92.3%인 1016명이 송천동 에코시티 부지내로 학교 신설 이전을 반대했다. 찬성은 85명 7.7%에 그쳤다.
이전을 추진했던 전북대와 전북교육청의 명분이 약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결과와 함께 에코시티 고교 신설 문제는 다시 지역 현안으로 남겨지게 됐다.
전북교육청 입장에서는 ‘진퇴양난’의 딜레마에 빠진 셈이다. 학교를 신설하려해도 교육부의 반대 장벽을 뚫긴 어려운 실정이며, 이전 조차도 대상학교의 반발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북교육청과 정치권이 공조해 에코시티 고교 신설 문제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이전 찬반투표 결과는 전북사대부고에서 발표했고, 이전과 관련 공식 입장은 전북대에서 나와야 할 듯 한다”며 “에코시티 고교 신설을 위해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아직 결정된 건 아무것도 없다”고 밝혔다.
전북대 관계자는 “전에도 약속했듯이 이번 학교 이전 찬반투표 결과를 겸허히 수용한다”면서 “우리는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직원의 여론 수렴 결과를 존중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