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시즌이다. 이 계절 마음 가는 장소를 꼽으라면, ‘나바위 성지’를 들 수 있다. 나바위 성지는 익산 망성면 화산과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성당이 자리하고, 김대건 신부가 사제 서품을 받고 귀국하여 발을 디딘 가톨릭의 역사적인 장소이다. 하여, 나바위 성지를 김대건 신부의 아름다운 여정이 깃든 축복의 땅으로 ‘첫 마음의 성지’라 부른다.
성 김대건 안드레아(1821-1846) 신부는 당진 솔뫼마을에서 태어나, 천주교 가정에서 자라며 사제의 꿈을 꾸었다. 열여섯 살에 마카오로 유학을 가, 스물다섯 살이 되는 1845년(헌종11) 8월 상해 금가항 성당에서 한국인 최초로 사제서품을 받았다. 조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뜻을 품은 김대건 신부는, 페레올 주교, 다블뤼 신부와 11명의 한국인 신자와 함께 작은 목선 ‘라파엘호’를 타고 한양으로 향한다.
하지만, 김대건 신부 일행은 제주 뱃길에서 풍랑으로 표류하며 방향을 잃게 된다. 제주 용수리에서 배를 수리하며 생사의 고비를 넘긴 이들은, 천주교인을 색출하는 눈길을 피해 금강을 거슬러 올라갔다. 1845년 10월 12일 밤, 유명한 포구인 황산포 인근 화산 아래 조용히 닻을 내린다. 화산이 있는 익산 망성면은 천주교 신자가 많은 강경과 맞닿아 있는 곳이다. 망성(望娍)’은 일제강점기 면 소재지 마을에 헌병이 주둔해 ‘망을 서’ 유래된 지명이나 ‘아름다운 곳을 바라 본다’는 의미도 지녔다.
예로부터, 산천이 아름다워 그 모습 따라 불린 지명이 여럿 있는 고장이다. 비단 자락 푼 듯 유려하게 흐르는 금강 옆 산 이름도 화산(華山)이다. 우암 송시열이 황산 팔괘정에서 후학을 양성할 때 나지막한 산이 사철 아름다워 화산이라 칭한데 이른다. 인근에는 송시열 선생의 글씨라 전해지는 ‘화산’ 각자가 바위에 새겨져 있다. 김대건 신부의 착지처(着地處), 처음 발을 내디딘 곳으로 추정되는 근처에는 십자가 모양의 바위도 있다.
하지만, 고국에 돌아온 지 1년 채 못된 1846년 9월, 김대건 신부는 한양 ‘새남터’에서 순교하였다. 안타깝게도 짧은 기간이었지만, 김대건 신부는 가톨릭 역사의 초석이 되었다. 1897년에는 ‘화산본당’이 설립되고 베를모렐(한국명 장약실) 신부가 초대 주임신부로 임명된다. 이후, 베를모렐 신부는 1906년 중국인 기술자를 데려와 신자들과 힘을 모아 김대건 신부를 기념하는 성당을 짓기 시작한다.
1907년 12월 완공된 성당은 한국 정서에 맞게 한옥 목조 건물로 지어졌다. 흙벽 기와지붕에 나무로 만든 종탑이지만, 프랑스에서 제작한 종을 가져와 종탑에 설치했다. 이후 해외교회의 도움을 받아, 1916년과 1917년에는 흙벽을 양식 벽돌로 바꾸고 기존 종탑을 헐고 고딕식 종각을 세우며 서양과 한국의 건축양식이 혼합된 독특한 형태의 성당 모습이 되었다.
성당 앞면은 고딕양식의 3층 수직 종탑과 아치형 출입구로 꾸며져 있고, 2층 건물과 비슷한 팔작지붕으로 벽면은 전통 목조 한옥의 느낌을 자아낸다. 기와지붕 처마가 2단으로 되어, 높이 솟은 지붕이 본당을 이루고 외곽 처마는 회랑을 이루는 낮은 처마로 이채롭게 구성되었다.
기와지붕 아래 처마에는 십자가들이 세워져 있고, ‘팔괘’를 상징하는 팔각 채광창이 나 있다. 당시 남녀부동석의 풍습을 존중하여 ‘남녀 신자 자리’을 구분 삼아 한 경계가, 제대를 중심으로 중앙에 기둥으로 세워져 있다. 그리고, 제대에는 전주교구청에서 1995년 옮겨온 김대건 신부의 성해(목뼈) 일부가 안치돼 있다.
김대건 신부가 상륙한 것을 기념하여 지어진 이 특별한 양식의 건물은, 1987년 그 가치를 문화재청으로부터 인정받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오랫동안 ‘화산 천주교회’로 불러오다가, ‘화산 돼재성당’ 있는 완주 화산면과의 혼동을 피하고자 1989년부터는 ‘나바위 성당’으로 부르게 되었다. 나바위(나암,羅巖)는 화산의 너른 바위가 비단처럼 아름답게 널려 있어 오래전부터 불린 이름이다.
화산 나바위 아래는 금강물이 흐르던 뱃길이었다. 이 지역 평야에서 나는 곡식을 뱃길로 실어 나르기 위한 보관 창고가 있어서 ‘나암창’이라고도 불렸다. 성당 뒤편을 따라 화산 정상 너른 바위에 오르면 금강과 일대의 평야가 한눈에 내려 보이는 ‘망금정(望金亭)’과 ‘김대건 신부 순교 기념비’가 있다.
‘아름다운 것을 바라보는 정자’ 망금정은 베를모렐 신부가 드망드 주교의 피정을 위해 지은 정자이다. 망금정이 올려져 있는 바위 아랫길로 내려오면, 통일신라 시기에 암벽에 새겨진 것으로 추정되는 ‘마애삼존불’을 만날 수 있다. 마애삼존불은 성당이 설립되기 전, 금강을 지나던 이들의 안녕을 기원한 오랜 흔적이다. 한 해를 보내기에도, 모두의 간절한 기도가 닿는 나바위는 더 없는 위안의 장소다.
나바위에 올라 이해인 수녀님의 시, 겨울 편지를 읊는다. “네가 사는 곳에도 눈이 내리니? / 산 위에 바다 위에 장독대 위에 하얗게 내려 쌓이는 눈 만큼이나 그리움이 눈사람 되어 눈 오는 날 / 눈처럼 부드러운 네 목소리가 눈처럼 깨끗한 네 마음이 하얀 눈송이로 날리는 것만 같아 / 자꾸만 네 이름을 불러 본다” 두고두고 기억해야 할 이름들을 조용히 불러보고 내내 평안하기를 기도한다.<끝>
※윤주 소장의 사연있는 지역이야기는 이번 회를 끝으로 마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