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교육대학교 졸업생 절반이 임용시험에서 탈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생 영향으로 교사 임용 규모가 줄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교육부를 통해 전국 10개 교육대학과 한국교원대 등 11개 대학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먼저 2024학년도 전국 10개 교대 및 교원대학교를 졸업한 학생 수는 3463명이었는데 이 중 임용 합격생은 1792명으로 51.7%에 불과했다. 교육대학교를 졸업해도 2명 중 1명은 임용고시에 탈락한 셈이다.
전주교대는 합격률이 전국 교육대 평균보다는 높았다.
올해 전주교대는 졸업생 272명중 144명이 임용에 통과해 임용률 53.9%를 보였다. 전국 10개 교대(한국교원대 제외)에서 임용률이 세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학년도 52.0%, 2023학년도 53.8%였다.
학교별로 보면 서울교대가 62.01%로 가장 높았으며 대구교대 57.10%, 전주교대 53.9%, 진주교대 52.82%, 부산교대 52.58% 순이었다.
경인교대·청주교대·춘천교대의 경우 합격률이 절반도 되지 않았다.
이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신규 초등교사 채용이 줄었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라고 강 의원은 분석했다.
2년 전만 해도 이화여대 초등교육과를 제외한 전국 12개 교대의 평균 임용률은 2020년 기준 62.1%였다.
강득구 의원은 "교원 수급에 대한 교육 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며, 동시에 과밀학급 해소와 기초학력 보장 등 양질의 공교육을 위해 적정 교원 수를 확보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