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美 노근리 사건 종결과 향후 전망

미국이 11일 노근리 사건의 진상 조사 결과를발표하고 사후 대책까지 내놓았으나 결국 법정에 가서야 해결될 전망이다.

 

발사 명령 여부와 사상자 규모에서 미국 정부와 피해자간의 입장 차이가 워낙현격해 미국 육군장관의 사과와 정당한 배상이라는 피해자측의 요구를 미국 정부가받아들일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미국으로서는 노근리 사건에 관한 한 상당한 성의를 보였다고 할 만하다.

 

지난 1999년9월 말 AP통신의 특종 보도로 사건이 표면화된 이후 꽤 광범위한 조사를 벌였고 조사 결과 발표와 함께 빌 클린턴 대통령이 '깊은 유감'을 표명하는 성명을 내놓은 데 이어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에게 전화까지 걸어 유감을 재차 강조한하는 등 임기 내에 마무리하려는 의지와 성의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미 국방부 발표에 따르면 15개월동안 노근리 사건에 연 5만4천800시간이 투입돼조사요원 27명이 2주일씩의 휴가를 제외하고 1년 내내 매달린 꼴이며 이 기간에 참전 군인 등 171명을 면담하고 100만건이 넘는 서류를 검색하는 등 관계자들조차 "일찌기 본 적이 없는 방대한 규모"의 조사가 이뤄졌다.

 

노근리 조사의 정책 부문 실무 책임자인 찰스 크래긴 국방부 예비군 담당 수석부차관보는 한미 양국이 조사 과정에서 최고 수준의 상호 협력을 과시했다고 강조하고 코언 장관이 "비극에 대한 깊은 유감의 표시로 노근리 부근에 추모비를 건립하고한미장학재단을 설립하겠다"고 밝힌 것도 모두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피해자측의 주장은 사뭇 다르다.

 

무려 60여시간이나 학살이 자행됐고 그러한 정황 증거가 곳곳에 널려 있는 데도모두 묵살하고 증인들의 증언도 채택하지 않은 채 명령 계통에 의한 발사의 증거를찾을 수 없다는 발뺌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점은 미국 조사단의 일부 민간 자문위원도 지적하고 나섰다는 부분으로 단순히 한 쪽의 주장으로만 흘려 듣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방대한 조사라고는 하지만 애초부터 답이 정해져 있는 요식 행위일 뿐이며 한미양국의 협조라는 것도 미국이 정당성을 확보해 보려고 한국을 물고 들어간 꼴에 다름 아니라는 게 피해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미국 변호인단의 시각이다.

 

특히 조사 초기 참전군인들의 증언이 잇따르자 루이스 칼데라 육군장관이 '형사책임' 운운 하며 이들의 말을 막았으나 이번에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당시 어떠한활동도 범죄 수준에 이르지 않는다고 밝힌 것도 이러한 시각을 뒷받침하고 있다.

 

변호인단은 미국 정부의 조사 결과를 "모두 조작된 것"이라고 일축하고 소송을비롯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피해자들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싸울 뜻을 밝혔다.

 

유일한 한국계 변호인인 마이클 최(한국명 최영) 변호사는 국립문서보관소에서자료를 찾는 과정에서 관련 자료들이 없어졌거나 공개를 거부당했다며 미국측의 조직적인 사건 은폐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따라서 미국측이 아무리 성의를 보였어도 공식 사과와 직접 배상이 아닌한 피해자들의 소송은 예정된 수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 점에는 한미 양국의 조사관계자들도 같은 견해인 점에 비춰 노근리 사건은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어찌보면이제부터가 시작이라고도 할 수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