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화계의 뜨거운 감자였던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민간위탁 우선협상대상기관이 선정됐다.
9일 심사위원회를 연 전북도는 심사기준과 배점안을 마련했지만 그야말로 ‘안’을 제시하는 차원에서였을 뿐 모든 선정과정을 심사위원들에게 전권 위임, 투명한 절차와 공정성을 가장 우선으로 내세웠다.
오후 2시부터 밤 10시 40분까지 이어진 마라톤 심사 역시 객관성을 지키려는 심사위원들의 의지를 간접적으로 드러내기에 족했다.
하지만 이를 지켜보며 전북도가 심사위원들을 ‘전지전능한 수퍼맨’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 과신(過信)과 졸속 행정을 답습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도는 심사위원 11명에게 심사자료와 기준을 심사위원회 개회시간에 맞춰 넘겨주고 우선협상대상기관 선정과 심사기준을 확정해달라고 주문했다.
심사위원들이 각계를 대표하는 전문가라고는 하지만 단 몇시간 만에 5개 위탁응모 단체의 사업계획서를 꼼꼼이 살피는 일은 쉽지 않을 것임에 틀림없다.
5개 단체가 한달여 동안 심혈을 기울여 작성한 자료를 프리젠테이션 10분과 질의 및 응답 20분만으로 밀도있게 평가해내는데에도 적지 않은 한계가 있을 터이다.
실제 일부 심사위원들은 엄정하고 공정한 잣대를 적용했다고 말하면서도 자료를 자세히 살필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던 점을 아쉬움으로 토로했다.
자료를 미리 보내거나 심사위 개회 시간을 앞당겼더라면 더욱 효율적이고 심도 깊은 평가를 이끌어냈을 것이라는 입장도 덧붙였다. 물론 그런 여건 속에서도 심사는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진행되었다고 강조했다.
이날 심사위원들이 한결같이 심사일정의 문제를 지적하자 전북도는 공정성을 위한 선택이었지만 무리가 있었던 점을 시인, 앞으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그나마 다행이지만 적지 않은 문화인력들의 피와 땀이 담겨있는 응모단체의 준비작업이 단 몇 시간에 진행되는 심사만으로 판정받게 된 현실에 대한 아쉬움은 지울 수 없다.
심사가 아무리 공정했다고해도 이 촉박한 시간때문에 그 의미가 퇴색해진 것을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임용묵(본사 교육문화부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