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전주시정을 바라보는 시민들은 불안하기 그지없다.
전북 기초행정의 1번지인 전주시청 현관에 들어서면 때아닌 근조(謹弔) 화환이 진열되어 있고 시장을 비난하는 공무원 노조의 1인시위가 첫 눈에 들어온다. 청내 건물과 복도, 출입구에는 집행부에 단체교섭을 촉구하는 공무원 노조의 프랭카드와 포스터, 벽보 등이 도배질하고 있다.
며칠전에는 공무원 노조가 불법단체라는 문건이 나돌자 급기야 노조원들이 물리력을 행사하는 불상사가 빚어지면서 시측의 무더기 고소과 함께 노조 핵심간부 3명이 구속되고 23명이 입건되는 전주시정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아직도 간부 1명은 영어(囹圄)의 몸이다.
'전주를 바꾸겠다'는 전주시정이 왜 이 지경까지 왔는가. 참여 정부들어 개혁의 첨병으로 내세운 공직사회가 왜 이렇게 서로 막가파식으로 변했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서로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 부재와 불신 때문이다.
시장과 노조 집행부 사이에 제대로 의사소통이 안되다보니 갈등과 대립, 나아가 충돌이 빚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양측 모두 원만한 대화를 통한 사태해결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내막을 들어다 보면 대화에 앞서 서로 전제조건을 제시하고 있고 이것이 최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노조는 시장이 먼저 공개사과와 고소·고발을 취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대해 시에선 수사를 받고 있는 사람들이 상당한 성의를 표하고 입장변화가 있어야 고소 취하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노조는 공무원 노조의 실체를 인정하고 즉각 단체교섭에 응해야 한다는 주장인 반면, 시는 아직 노조가 입법화 단계인 만큼 단체교섭엔 임할 수 없고 복리후생문제에 대한 협의는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
이렇듯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갈등과 불신, 대립이 증폭되고 그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이 떠안아야할 실정이다.
따라서 시와 노조는 즉각 전제조건없이 대화를 통해 사태해결에 나서야 한다.
명분과 형식만 앞세우다보면 실리와 본질을 간과할 수 밖에 없다. 시장과 노조는 63만 전주시민의 대표이자 공복으로서 자세와 본분을 잊어서는 절대 안될 것이다. 솔로몬의 지혜와 알렉산더의 얽힌 매듭을 푸는 결단을 기대해 본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