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명의 사망자를 낸 이번주 우즈베키스탄 유혈 사태를 놓고 테러냐, 아니면 정부 탄압에 맞선 주민 반발이냐 하는 논란이 일고 있다.
우즈벡 정부는 2일 급진 불순 세력을 면밀히 관찰, 당국에 신고해줄 것을 촉구하는 포스터를 타슈켄트 일원에 내붙이는 등 일단 급진 이슬람 세력에 의한 테러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정부는 포스터에서 "국가 평화를 유지하고 어린이와 여성, 노약자, 이웃의 안전과 평온을 유지하는 것은 시민의 책무"라고 강조하며 주민들의 테러 퇴치 노력을 촉구했다.
정부도 앞서 타슈켄트와 중부 고도시 부하라에서 잇따라 발생한 폭발 사건 및 경찰과 교전이 국제 테러 조직 알-카에다와 연계돼 있다고 주장하는 등 테러 사건임을 기정 사실화하고 있다.
우즈벡 내무부 대테러기구 부책임자인 일리야 퍄가이는 "이번 연쇄 사건의 배후에는 오사마 빈 라덴을 따르는 이슬람 단체가 있다"면서 "그들은 알-카에다 산하 조직인 와하비 요원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지 인권 단체 등은 이슬람 카리모프 대통령 정권이 폭력과 연계되지 않은 주민들에 대한 탄압을 최근 강화하고 경제난도 악화됨에 따라 주민 반발이 자연스럽게 표출됐다고 반박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 ▲주민들의 공격 대상이 주로 경찰에 집중돼 있고 ▲서방 국가 시설들을 목표로 삼고 있지 않다는 점 등을 들어 국제 테러 단체와 연계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다.
인권 단체들은 이날 성명에서 "과거 종교 문제로 수감됐던 주민 11명이 사망자에 포함돼 있으며, 그들의 가족들도 최근 체포돼 연락이 끊겼다"면서 "현 상황은 16명이 사망한 1999년 폭발 사건 이후 한층 강화됐던 정부의 탄압 정책을 연상케 한다"고 비판했다.
일부 전문가들도 9.11 테러 이후 미국이 테러와 전쟁을 위해 우즈벡에 군대를 진주시킨 뒤 카리모프 대통령 정권의 독재를 묵인함에 따라 주민 불만이 크게 고조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