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탄핵심판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노무현 대통령의 집권2기 구상이 점차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우선 국정운영은 지난 1년처럼 직접 나서서 정치적 행위를 하는 것보다 한발짝 물러서서 국정 최고통치자로서 거중 조정역을 하겠다는 쪽으로 모아진다.
이런 관점에서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한 열린우리당 원내대표 경선에도 일절 개입하지 않고 `엄정 중립'을 지키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내치는 차기 국무총리에게, 정치는 열린우리당에 상당폭을 위임하고, 청와대는 장기적 국정과제 해결과 정부 혁신에 주력하는 방향이 될 것이라고 측근들은 설명한다.
노 대통령은 이를 위해 우선 6월 중순쯤에 개각과 청와대 개편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각에는 고 건 현 총리의 교체가 확실시되는 가운데 후임에는 김혁규 전 경남지사가 거의 내정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은 지난 5일밤 정동영 의장과 김근태 원내대표, 문희상 상임고문 등 우리당 지도부와 만찬을 함께한 자리에서도 이같은 의지를피력했다는 후문이다.
이 자리에서 노 대통령은 "상생의 정치를 얘기하지만, 한나라당이 3번이나 (김전 지사를 경남지사로 공천하지 않았느냐"면서 "하자가 있다면 그렇게 공천을 했겠느냐"며 `김혁규 카드' 의지를 내비쳤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아울러 개각 폭은 통일부를 포함한 5-7개 부처가 포함되는 중폭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우리당 인사들도 3-4명 정도가 입각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정동영 의장은 정보통신부 장관에, 김근태 원내대표는 통일장관에 각각 임명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여권 고위관계자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다만 한때 정무장관 부활 가능성도 검토됐으나 청와대 정무수석 기능을 강화하는 쪽으로 사실상 결론이 났다고 한다.
청와대 개편도 상당폭 검토가 이뤄졌다. 일단 국민참여수석실은 폐지되고 사회수석을 신설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진다.
아울러 유인태 전수석의 총선 출마와 반기문 전 보좌관의 외교장관 부임으로 각각 공석중인 정무수석과 외교보좌관 후임도 곧바로 임명할 방침인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문재인 전 민정수석을 포함한 설동일 부산민주공원 관장, 노무현대선후보 거제선대위원장을 지낸 장상훈씨, 부산대 총학생회장을 지낸 정윤재, 최인호, 송인배 씨 등 `부산파'의 청와대 입성도 점쳐진다.
문 수석이 복귀할 경우 신설될 사회수석이나 대통령 법무특보를 맡을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일각에선 박주현 전 수석이 떠나 공석중인 참여혁신수석직을 맡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사표를 제출한 이호철 전 민정비서관의 후임에는 설동일, 정윤재씨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정만호 전 비서관의 출마로 공석중인 의전비서관에는 이번 총선에서 고배를 마신 김만수 전 춘추관장의 하마평이 나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