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장이 자신의 선거공약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인사정책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고 있습니다”.
임실군이 실시한 정기인사와 관련, 이에 불만을 품은 일부 공무원과 공직협의회의 반발에 대해 김진억군수는 이렇게 해명했다.
김군수는 또 어떠한 단체에서 아무리 뛰어난 지도자가 인사정책을 펴도 대상자 모두가 1백% 만족한 예는 없다고 단언했다. 임실군은 대대적으로 이뤄진 이번 승진 및 전보, 전출인사를 두고 사실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깊은 고민은 임실군이 인사비리로 전국에 오명을 떨쳤고 이로 인해 단체장의 구속등 공직계에 회오리가 몰아쳤고 특히 군민들에게 엄청난 충격파를 안겨주었기 때문이다.
김군수는 이번 인사를 앞두고 소외된 공무원과 장기근속자들을 배려, 우선적으로 이들의 사기앙양을 위한 구제책을 시도했다고 밝혔다. 반면 일선 읍면은 3년 이상, 군청은 2년 이상의 동일 보직자에 대해 장기근무의 폐해와 업무정체 등을 이유로 전보와 전출을 단행했다. 또 공무원들이 선호하는 요직부서에 대해서는 과거의 전력을 무시하고 철저히게 능력위주로 기용, 향후 군정추진의 지렛대로 삼는다는 인사전략도 펼쳤다.
이와 함께 혈연과 지연에 편중됐다는 KS(경주 김씨와 삼계면)설은 사실 따지고 들어가면 전체적으로 크게 작용하지 않았다는게 중론이라는 것.
보복설도 L과장에 반해 K담당은“나는 보복을 당할 이유도, 그런 일도 없으며 인사에 대한 불만도 전혀 없다”고 밝혀 소문이 과장됐음을 내비쳤다.
김군수는 “과거의 인사정책에 비해 가능한 서열과 능력을 중시했다”며“앞으로도 군정발전을 위해 이같은 인사정책에는 변함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공직협의 입장은 이번 인사가 철저히 조작됐고 보복과 편중인사가 두드러졌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대조를 보인다. 공직협 관계자는“L과장의 경우는 납득할 수 없는 조치이고 일부 공무원은 능력에 비해 특혜가 주어졌다”고 강조한다.
인사때면 어김없이 불거지는 목소리, 그러나 상호간의 충분한 이해로 후유증이 없어야 한다는 주민의 목소리가 따갑게 들려온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