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권 보장 위해 공공성의 이념 재구성해야"
디지털혁명과 방통융합기구 개편에 대한 산업주의적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표현과 소통의 권리, 즉 커뮤니케이션권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공공성의 이념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6일 오후 2시 전주 메가박스 10관에서 열린 전주영화제 로컬클래스 '미디어 공공성 수호를 위한 미디어운동의 전략 그리고 지역미디어센터. 박민 전주시민미디어센터 영시미 부소장은 "미디어가 갖는 공공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가치는 산업적 가치에 대체되거나 종속될 수 없는 본질적 지위를 갖는다"며 "새로운 매체환경에서 미디어공공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시민들의 직접 발언과 참여를 돕는 다양한 시민미디어영역의 확장과 공적 지원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퍼블릭액세스, 시민미디어센터, 공동체라디오 등이 대표적인 예.
이날 세미나에서는 미디어공공성의 위기를 지역성의 위기로 인식, 시민들의 커뮤니케이션권 실현에 맞춘 새로운 공공성의 철학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이상훈 전북대교수와 허경 전국미디어운동네트워크 간사,이현세 전북공공영상미디어센터 준비위 실무준비위원장이 세미나에 함께 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