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대통령실 비서관 재산 평균 17억

정부공직자윤리위 공개, 김은혜 부대변인 97억 최다

이명박 정부의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국무위원,각 부처 차관을 제외한 대통령실 비서관과 방송통신위원회.감사원.금융위원회.국방부 등 부처.기관별 2급 이상 고위공직자73명(신규 임명자)의 재산 평균액이 17억6천여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7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3월1일 이후 신규 임명자중 2급 이상 고위직 재산등록 신고내역'에 따르면 공개대상자 73명의 재산평균액은 17억6천558만3천원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재산은 직계 존비속을 뺀 본인.배우자만 기준으로 할 때는 16억5천906만6천원으로 다소 낮아졌다.

 

특히 김백준 총무비서관을 포함한 대통령실 비서관 34명의 재산평균액은 17억6천567만7천원에 달했으며, 본인.배우자만의 재산은 16억1천147만2천원으로 신고됐다.

 

이번 공개자 가운데 최고자산가는 김은혜 대통령실 부대변인으로 97억3천155만9천원이었으며, 이어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72억4천897만1천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 두 사람을 포함해 30억대 이상 자산가는 11명이었다.

 

반면 노연홍 보건복지비서관(1억8천426만원)과 김명식 인사비서관(1억8천973만9천원)은 이번 공개자 가운데 재산이 적은 1.2위를 각각 기록했다.

 

이번 공개자 73명 가운데 21명(28.8%)은 직계 존비속의 재산을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 비서관 34명 가운데 11명(32.4%)도 직계 존비속 재산의 고지를거부, 앞선 정부에 이어 새 정부에서도 고위 공직자들의 고지거부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지난 4월24일 공개된 새 정부 대통령실 수석비서관과 장.차관 등 국무위원 재산공개 때와는 달리 이번에는 부동산의 `강남 편중' 현상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번 공개자는 새 정부 출범 이후인 3월1일 이후 임명돼 5월1일까지 재산등록을마친 장.차관급 정무직과 고위공무원 나등급(옛 2급 상당) 이상자들이다.

 

윤리위원회는 8월말까지 이번 신고내역을 심사해 허위.누락 등 불성실 신고사실이 드러나면 경고, 해임, 징계 요구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짝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