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재보선 참패·지지율 급락…대대적 물갈이 준비 효과의문
임기 100일을 막 지난 5일 민심이반에 직면한 이명박 대통령의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쇠고기 파동에 따른 6.4재보선 여당 완패는 물론 이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20%대에서 10%대 후반으로 하락하는 등 잘못하면 '식물 대통령' 소리가 나올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상 소폭이나 중폭으로 예상되던 인적쇄신폭이 대폭으로 이동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진짜 고민은 대대적 물갈이를 한다고 국정을 다시 추스릴 수 있느냐는 점이다.
그러나 여권의 한 축인 한나라당은 일단 청와대에 대대적 쇄신을 통한 심기일전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들의 목소리는 거의 야당수준이다. 일각에서 나오는 쇠고기 재협상 목소리가 그 예다.
여기에다 '쇠고기 수출 자율규제'라는 어정쩡한 해법이 도리어 민심을 악화시키고 야당의 공세를 강화하는 촉매제로 작용한 점도 이 대통령을 옥죄고 있다.
이에 따라 당초 쇠고기 파문에 대해 '자율규제 승부수'를 던진 뒤 일부 장관과 참모 몇사람을 읍참마속하려 했던 이 대통령의 구상은 이미 물건너 간 양상이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쇠고기 파문에 따른 재·보선 참패를 새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로 보지 않으려는 시각도 있지만 '선거 결과는 곧 국민의 심판'이라는 당위론에 밀리고 있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재보선 결과에 대해 "국민과의 소통이 단단히 틀어졌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미 이 대통령이 '장고'에 들어갔다"고도 했다.
따라서 이 대통령은 이번 주 연휴를 통해 구상을 가다듬은 뒤 다음주 초 대대적인 국정쇄신책과 인적개편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내각과 청와대 비서실의 틀이 완전히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제는 이 대통령의 쇄신안이 '촛불'을 잠재울 지 '산불'로 키울 지 쉽게 예단할 수 없다는 점이다.
에너지 절약 시책에도 불구하고 청와대는 당분간 사무실 불을 켠채 아침을 맞게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