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위한 전략공천 늘리고 고위직 진출 문턱 낮춰야
여성계는 4·29 재보선에 나선 후보들에게 여성들을 위한 적합한 일자리 마련을 우선적으로 주문했다.
여성노동자의 70%가 비정규직이며 파견노동자의 55%가 여성임을 감안할 때 최저임금 수준에도 못 미치는 일자리가 대다수라는 것. 여성 일자리 창출 구호만 외칠 것이 아니라 안정된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예산확보가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성인지정책에 관심을 갖고, 성평등적 경제 정책 실현에도 관심을 쏟을 것이 요구됐다.
박영자 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장은 "정치인들이 유권자를 바라볼 때 성인지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며 "적어도 여성이 20~30%까지 고용될 수 있는 기업 유치를 고민하는 자세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재보궐에 여성 후보가 한 명도 없는 만큼 여성들의 정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여성후보자를 전략 공천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강원자 전북여성단체협의회 회장은 "여성들이 정치 세력화를 위한 결속력이 적은 데다, 고위직 진출도 일부 분야에 한정돼 있다"며 "여성들을 위한 정책 개발을 위해 전략 공천에도 힘을 쏟고, 다양한 분야의 고위직에 진출할 수 있도록 문턱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성에 의한 여성의 소외를 낳고 있다며, 여성 소외 계층을 보듬기 위한 후보를 주문하기도 했다.
박영숙 전북여성단체연합 대표는 "여성인권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된 문제의식은 공무원 담당자들이 자주 바뀌는 데다 여성인권 감수성이 부족하고, 여성단체를 지도와 관리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라며 "성매매 정책만 봐도 여성인권중앙지원센터 민간위탁이 갑자기 해지하고 무리하게 재단법인 설립을 추진하다가 파행을 겪는 만큼 민·관 협력의 중요성을 아는 후보자가 선출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