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를 파괴하는 요인으로는 성장과 개발정책으로 인한 동식물 자생지의 파괴, 밀렵과 남획, 갈수록 심해지는 환경오염을 들 수 있다. 이 모든 요인들은 인간들의 행위에 의해 비롯된 것이다.
이 요인들외에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외래(外來) 동식물의 유입이다. 안정된 자연 생태계는 오랜 세월에 걸쳐 구성종(種)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것으로 특정한 환경내에서 나름대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외래 동식물은 이같은 질서를 깨고 새로운 생물간 상호작용을 토착생물들에 요구한다. 만일 외래종이 기존 생태계의 먹이사슬 상위에 존재하고 강력한 번식능력을 지니고 있을 경우 안정된 생태계의 파괴는 불 보듯 뻔하다.
외래 동식물은 황소개구리의 경우처럼 식용이나 농가소득 증대용, 애완용등의 목적으로 들어오고 있다. 미처 폐해를 예상하지 못한채 관리소홀이나 방생으로 퍼져나가기도 한다. 뒤늦게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관심을 쏟다가 다시 방치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식물의 경우는 수입 화물등에 묻혀 들어오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국내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외래 동식물은 510종에 달한다. 이 가운데 10종만이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동물로는 황소개구리를 비롯 블루길, 큰입배스, 붉은귀거북이가 지정됐으며 식물로는 돼지풀등이다. 뉴트리아는 이미 수생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으나 아직 생태 교란동물로 지정되지 않은 상태다. 최근 국립 환경과학원은 사향쥐와 비자루국화, 미국가막사리, 큰김의털등 4종의 외래 동식물이 심각하게 생태계를 위협할 가능성이 커 특별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의 발표에 맞춰 도내 외래어종 조사를 실시한 결과 용담호의 경우 블루길이 출현어종의 27%를 차지하고 있고, 만경강 수계에서는 배스가 8.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스나 블루길은 한 때 '물 반 고기 반'으로 유명했던 임실 옥정호의 민물고기를 절멸시킬 정도의 상위 포식자다.
이대로 가다가는 용담호까지도 민물고기의 멸종이 우려된다. 천적도 없는 상황에서 가끔씩 개최하는 낚시대회만으로는 근본적인 제거가 어렵다.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마구 빼내는 현상을 이대로 두어서는 안될 일이다. 더 늦기전에 확산방지와 퇴치를 위한 체계적 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이다.
/박인환 주필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