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회·방통심의위 세미나서 지적
최근 방송프로그램에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출연이 빈번해지면서 이들에 대한 부적절한 묘사와 인권침해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학회(회장 김정기)가 21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 후원으로 개최한 '아동.청소년 방송출연과 미디어윤리'라는 주제의 세미나에서 지정순 밝은청소년지원센터 미디어 전문위원은 이같이 지적했다.
지 위원은 "KBS, MBC, SBS, EBS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방송에서 아동.청소년은 초상권ㆍ안전권이 무시되거나 끔찍한 폭력의 가해자ㆍ피해자로 묘사돼 단순한 유희의 대상이 되거나 선정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 인기 사극에서 신생아를 내던지는 싸움 장면이 나오는 등 어린이가 폭력의 대상으로 묘사됐으며 여러 오락프로그램에서 어린이에게 뽀뽀를 강요하는 등 성추행적 진행방식을 선보이기도 했다.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어린이의 초상권과 가정환경을 그대로 노출시키기도 했다.
지 위원은 "드라마, 리얼리티, 토크쇼, 오락 등 프로그램을 장르별로 모니터링한 결과 어린이 및 청소년을 묘사하는 제작 방식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
두 번째 주제발표자인 박석철 EBS 정책위원은 미국, 영국, 일본 등 해외 선진국들의 경우 미성년 연기자들을 하나의 인격체로 보고 출연 내용과 연기 시간, 학습권, 재산권 등을 규정해 보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영주 한국예술종합학교 책임연구원은 유엔은 TV리얼리티 프로그램의 과도한 아동 착취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도 프로그램과 광고에서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도덕적 발전에 대한 침해에 주의를 경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연구원은 이에 따라 "국내 방송의 아동ㆍ청소년 출연 가이드라인 마련이 절실하다"며 "노동시간과 건강, 안전보호, 보호자, 충분한 출연프로그램 정보제공, 계약, 프라이버시 보호 관련 법규정, 출연제한광고 등이 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