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친정엄마와 딸이 함께한 애틋한 2박3일

"우리 어머니가 아흔네 살인데 몸이 불편하세요. 집에 가면 저는 엄마이자 딸인데 지금도 아흔 넘은 엄마한테 신경질을 내죠." (김해숙)

 

"밖에서 워낙 인터뷰도 많이 하고 그래선지, 집에 들어가면 엄마 말에 대답도 잘 안 하고. 못된 딸이 돼가는 것 같아요." (박진희)

 

22일 동대문 메가박스에서 열린 영화 '친정엄마' 제작보고회에서 엄마와 딸로 각각 출연한 김해숙과 박진희는 영화를 찍으면서 자연스럽게 어머니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털어놨다.

 

'친정엄마'는 지난해 관객 13만 명을 감동시킨 연극 '친정엄마와 2박3일'이 원작이다. 딸밖에 모르고 살았던 엄마와 엄마에게 항상 고맙고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만 살갑게 대하지 못했던 딸의 첫 2박3일 여행을 그렸다.

 

이 영화에서 첫 장편영화 연출을 맡은 유성엽 감독은 "원작인 연극이 있지만, 연극과는 어법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연극이 호소적이었다면 우리 영화는 잔잔한 울림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지난해 박찬욱 감독의 영화 '박쥐'에서 신하균의 엄마 역할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해숙은 전통적인 엄마 상에 도전했다.

 

김해숙은 "징글징글한 어머니상을 해보고 싶은 욕망이 있었다"면서 "'친정엄마'의 엄마 캐릭터는 자식을 위해 희생할 수 있는 전형적인 엄마 상이다. 딸밖에 모르고 딸을 위해서만 살아가는 엄마를 표현하려 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사설] 전북교육청 3년 연속 최우수, 성과 이어가야

오피니언[사설] 전북도, 고병원성 AI 방역 철저히 하길

오피니언[오목대] 학원안정법과 국정안정법

오피니언[의정단상] 새만금에 뜨는 두 번째 태양

오피니언[타향에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조세정책과 우리 기업의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