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나' 아닌 '나머지'의 이야기들을 들추다

"우리는 자신을 어느 정도까지 경험할 수 있는 것일까? 겨우 한 귀퉁이 정도만 볼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나머지는 누가 보는 것일까? 그 나머지의 공간, 그 나머지의 경험, 그 나머지의 이야기들은 어디를 떠돌게 되는 것일까? 나는 늘 그것이 궁금했다."

 

소설가 윤성희(37) 씨가 등단 11년 만에 첫 장편 '구경꾼들'(문학동네)을 펴냈다. 소설은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큰삼촌, 작은삼촌, 고모까지 함께 사는 '나'가 말하는 많은 사람의 이야기다.

 

'작가의 말'처럼 이 소설은 '나'의 이야기가 아니다. 소설은 '나'의 입으로 가족 한 사람 한 사람의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이 대가족이 파란만장하고 극적인 삶을 산 것도 아니다. 오히려 지극히 평범하고 소박한 일상이 펼쳐진다. 이 소설의 묘미는 여기에 있다. 스쳐 지나가는 보통 사람들의 진짜 삶의 이야기들을, 꾸밈없이 쉽고 진솔한 문장으로 깨알처럼 촘촘히 되살린다.

 

소설은 아버지가 어릴 때 아이스박스에 이틀이나 갇혔던 적이 있다는 이야기를 어머니에게 하면서 시작한다. 두 사람이 결혼하기 전, 그러니 '나'가 태어나기도 전의 일이다. 아이스박스 이야기는 아버지의 프러포즈가 되고, 이는 하루에 백 개씩 돼지족발을 썰면서 홀로 어머니를 키운 외할머니 이야기로 이어진다.

 

'나'와 가족의 이야기에서 수없이 많은 줄기가 뻗어나간다. 온 가족의 바다 여행을 떠나면서는 가족이 타고 간 봉고를 빌려준 아버지의 회사 동료 김 대리의 사연이 가지를 치고, 외할머니가 일출을 보다 우연히 만난 침낭 속 소녀의 이야기도 그냥 지나치지 않는다.

 

결국, 모두가 주인공이다. 저마다 사연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감칠맛 나는 웃음이 끊이지 않고, 어느새 따뜻한 감동이 솟아난다.

 

"어머니는 외할머니의 등에 업혀 잠이 들던,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갑자기 옆에 서 있는 나를 꼭 껴안으며 자주 업어줄걸, 하고 생각했다. 업어 키우면 다리가 휜다는 기사를 읽은 후 어머니는 나를 거의 업어주지 않았다. 나는 속으로, 대신 자주 안아줬잖아요, 하고 대답했다."(56-57쪽)

 

작가가 "삶이란 이런저런 것들을 쳐다보고 그냥 어리둥절해하는 일은 아닐까"라며 "미로를 헤매다보면 뭔가 희미하게나마 알게" 될 것이라며 쓴 이 소설에서, '나'는 그렇게 이런저런 것들을 보고 어리둥절해하면서 어른이 돼간다.

 

312쪽. 1만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짝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