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사태 이후 남북관계가 더욱 악화되었고, 급기야 북한은 연평도를 공격하여 민간인과 군인이 사망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남북 간 전쟁의 기운이 감돌고 있습니다. 북한은 우리에게 무엇일까요? 우리를 위협하는 적, 가슴 아픈 역사적 상처를 준 철천지 원수, 가난하고 짜증나는 피붙이, 통일의 상대방이자 우리의 반쪽, 도와주어야 할 안타까운 동족, 한 하늘을 이고 사는 한 민족, 미래를 함께 할 조금 다른 가족 등 부정적 이미지와 긍정적 인정이 극단적으로 대립되는 쉽지 않은 존재입니다. 우리의 미래를 위해 북한을 생각해보세요.
▲ 남북관계의 역사를 화해협력과 대결의 관점에서 살펴봅시다.
▲ 화해협력
1953년7월 27일- 군사정전협정 체결
1972년7월 4일-7·4 남북 공동 성명
1984년- 북측이 남측 홍수 수재 물자 제공
1989년- 정주영회장 방북 금강산관광 체결
1990년- 제1차남북고위급회담개최.(서울)
1991년3월- 일본 지바 세계 탁구 선수권대회 단일팀 참가.한반도기사용.
1991년12월 13일- 남북기본합의서교환
1998년 6월- 정주영현대그룹회장 소떼 방북
1998년 11월- 금강산관광선 금강호 첫 출항
2000년 6월 13일~15일-김대중대통령과 김정일위원장 남북 정상 회담. 6·15 남북공동선언 채택.
2000년 8월 15일- 제1차이산가족 상봉.
2003년 9월-현대아산, 금강산육로관광 개시
2007년10월 2-4일-노무현대통령과김정일위원장 정상 회담,2007 남북정상선언문체결
2007년 12월 -현대아산, 개성관광 실시
2009년 8월 김대중 전대통령 서거 조문단 방문
2010년 8월 북한지역 홍수 침수 구호품 지원결정
2010년 9월 북한 적십자사 남한에 식량 원조 요청
2010년 10월 남북이산가족상봉 실시
▲ 대결과 갈등
1948년 남북 단독정부 수립(남-대한민국, 북-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50년6월 25일- 한국 전쟁발생
1953년7월 27일- 군사정전협정 체결
1968년1월 21일- 1·21 사태. 김신조를 포함한 북측의 무장공비가청와대기습을 시도
1968년 11월2일 울진 삼척지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76년8월 18일-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발생
1983년 10월9일 버마(미얀마) 아웅산폭파사건 부총리 외무장관 등 수행원 17명 사망
1987년 11월29일 인도양 상공에서 대한항공858편 테러사건(김현희 주도)
1999년6월 15일?제1차 연평해전 발생
2002년6월 29일-제2차 연평해전 발생
2008년7월 11일? 금강산 관광 중 박왕자 씨 피격 사망
2009년 5월 미사일 발사 실험 남한 위협
2009년 11월10일 서해교전(대청해전)서해북방한계선에서 남북해군 교전
2010년 3월26일 백령도 해상에서 천안함 침몰
2010년 11월23일 북한 연평도에 포격
▲ 남북관계 역사에서 화해 협력과 대결 갈등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 사건을 3가지 선택하여 그 이유를 적어보세요.
가. 화해협력
①
②
③
나. 대결 갈등
①
②
③
▲ 분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다음 각 차원에서 찾아보세요.
가. 나 자신의 차원
나. 가족의 차원
다. 사회 국가적 차원
▲ 남북 간 전쟁이 발발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어느 경우에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게 될까요?
▲ 전쟁이 일어나게 될 때 발생하는 피해를 각 차원에서 찾아보세요.
가. 나 자신의 차원
나. 가족의 차원
다. 사회 국가적 차원
▲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날 때, 주변 4강국(미·일·중·러)에게는 어떤 피해와 이익이 있을지 생각해보세요.
▲ 북한은 우리에게 무엇인가요? 5가지만 적어보세요.
▲ 통일을 열망하는 입장에서 또는 통일을 반대하는 입장에서, 나와 다른 입장을 가진 친구에게 설득하는 편지를 한편 써보세요.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