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계 "전문가가 맡아야"…"이해관계 없는 공무원이 제격" 주장도
연말 공로연수에 들어가는 이선형 전북도립국악원 원장 후임은 과연 행정관료일까, 아니면 국악에 조예가 있는 민간 전문가일까. 최근들어 이를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문화예술계 일각에서는 "국악 전문가가 맡아 꾸려가야만 국악의 본고장 위상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한편에선, "국악인 출신이 맡으면 오히려 편파 논란을 빚을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1986년 10월 도립국악원이 태동한 이래 지금까지 원장을 지낸 행정관료는 모두 9명. 이중 2년간 맡은 이선형 현 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의 임기는 채 1년이 되지 않았다. 국악원장 자리는 공무원들이 잠시 쉬어가는 자리로 인식됐던 게 사실이다.
이를 두고 전북도가 지속성과 전문성을 담보하는 도립국악원을 발전시키려는 의지가 과연 있었느냐는 질타와 함께 국악원 원장을 책임 경영제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문치상 전 원장은 2001년 전북도립국악원 민간위탁 논란과 관련, 파행을 겪으면서 책임을 지고 자진사퇴했다.
그 이후 노사갈등이 깊어지자 전북도는 이후 계속해서 도청 공무원을 원장으로 파견했다.
도립국악원이 체질 개선을 하려면 국악계의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은 비교적 중립적인 공무원 원장이 요구된 측면도 있다. 하지만 도립국악원 일부에서는 공무원 원장 파견을 두고 국악원 실무자, 노조 등과 조율없이 이뤄진 일방적인 행정이었다고 반발하는 등 인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도립국악원 관계자들은 행정 관료의 파견을 꺼리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하지만 그 반대 여론도 많다.
도립국악원 공연기획실장을 역임했던 김정수 전주대 교수는 "민간 전문가가 오면 문화예술 발전에 보탬이 되는 건 맞다"면서도 "대신 민간인 국악원장은 위기상황이 발생될 때 사표를 내는 것으로 책임을 지기 때문에 전북도가 재인선과 갈등 봉합 등에 대한 부담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민간인 출신 전문가 원장을 채용하는게 능사가 아니라는 얘기다.
류장영 도립국악원 관현악단 단장은 "중요한 것은 공무원이든 경제인이든 국악 전문가든 결국 얼마나 헌신할 수 있는 사람이 원장으로 오느냐 하는 운용의 문제"라며 책임 경영제를 주장했다.
이처럼 후임 국악원장을 행정관료로 하느냐, 아니면 국악전문가로 하는냐 하는 팽팽한 대립속에서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인사에서 전북도가 어떤 결정을 할지 주목된다.
한편, 전북도가 최근 도립국악원 공연기획실장 공모를 하면서 적임자가 없다며 뽑지 않은 것에 대한 뒷말이 무성하다.
연극 연출 경험이 있는 응시자가 11명이나 몰렸음에도 불구하고 뽑지 않은 배경을 의아해하는 시각이 있는 것. 일부에서는 "공연기획실장의 '특정인 낙점설'이 확산되자 전북도가 이를 부담스러워해 아예 뽑지 않은 것같다"고 분석했다. 도는 연말께 재공고를 통해 선발하겠다고 밝혔으나, 문제는 4년간 공석인 공연기획실장 충원이 또다시 무산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