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종교계 신뢰도, 대기업보다 낮아”

신뢰도 가톨릭·영향력 개신교·평화적 종교 불교 1위

한국 사회에서 종교계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대기업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가 지난 9월26일부터 10월15일까지 전국 16-69세 남녀 1512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사회문화 및 종교에 관한 대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5점 만점에 한국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도는 2.89였으며 분야별로는 종교계가 3.00으로, 의료계(3.22), 시민사회(3.22), 학계(3.16), 대기업(3.12), 교육계(3.01)보다 낮았다. 국회.정당(2.17), 정부.지자체(2.48), 언론계(2.86), 금융계(2.88)는 평균을 밑돌았다.

 

각 종교에 대한 신뢰도는 가톨릭이 4.1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불교(4.05), 개신교(3.34), 원불교(2.31), 이슬람(1.20) 순이었다. 자기 종교 지도자에 대한 신뢰도는 신부(4.91), 스님(4.83), 목사(4.64)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서 종교 간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종교로 개신교가 가장 많이 지목됐다. 응답자의 57.0%는 ‘종교 간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종교’로 개신교를 꼽았으며 그다음은 불교(12.7%), 이슬람교(8.7%), 원불교(3.8%), 가톨릭(2.8%) 순이었다.

 

종교 간 갈등이 일어나는 주요 영역으로는 ‘개신교-불교’라고 답한 이가 41.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종교인-비종교인’(17.0%), ‘개신교-비종교인’(9.9%), ‘가톨릭-개신교’(6.3%), ‘개신교-이슬람교’(4.2%) 순이었다.

 

개신교는 한국 사회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종교로도 꼽혔다. 응답자의 53.2%가 ‘한국 사회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종교’로 개신교를 꼽았으며 불교(23.7%), 가톨릭(17.6%)이 그 뒤를 이었다.

 

종교정당을 통한 종교인의 정치참여에 대해서는 ‘매우 적절하지 않다’(26.0%), ‘다소 적절하지 않다’(25.5%), ‘적절하지는 않지만 그럴 수 있다’(35.1%) 등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당연한 일’ ‘매우 당연한 일’이라는 의견은 2.6%, 0.9%에 불과했다. 연합뉴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교육일반전북교육청, ‘깜깜이 5급 승진’ 의혹 해소 촉구

건설·부동산전북 상업용 부동산, 임대 정체에 수익률도 전국 하위권

경제김민호 엠에이치소프트 대표 “우리는 지금 인공지능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경제일반국립식량과학원, 국가 연구실 허브‘로 지정

정치일반요람부터 무덤까지…전북형 복지·의료 혁신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