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북조 시대 관음신앙의 영험을 모아 놓은 '관세음응험기'(觀世音應驗記)에는 백제 무왕이 '지모밀지'(枳慕密地·익산)에 제석정사를 지었는데, 무왕 40년(639년) 불이 나 불당, 7층 탑, 회랑 등이 전소되었다는 기록이 전한다. 실제로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에서 동쪽으로 약 1.4km 떨어져 있는 절터에서 1942년 제석사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었다. 이로써 이 절터가 백제 무왕이 창건한 제석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993년과 2007년~2009년 조사를 통해, 이 절터는 남북 중심축선상에 중문-목탑-금당-강담이 배치되어 있는 백제의 전형적인 '1탑 1금당식' 가람배치였음이 밝혀졌다. 아울러 동서 회랑 사이의 거리가 100m, 중문과 강당 사이의 거리가 약 140m로, 백제 사찰 가운데 미륵사지를 제외하고 가장 큰 규모이다. 제석사지에서 북동쪽으로 500m 정도 떨어진 지역에 대한 조사에서 7세기 전반의 연화문 수막새, 불에 탄 소조상, 벽체 편 등이 많이 출토되었다. 이곳은 어느 때인가 폐사된 제석사지의 건축부재, 소조상 등을 버린 폐기장일 것으로 여겨졌다.
폐기장에서는 346점의 불보살, 천인, 신장, 악귀, 동물 형상의 소조상 파편이 발견되었다. 천인상의 얼굴은 우아하고 부드러운 백제의 아름다움이 잘 드러나 있다. 고통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는 악귀상은 신장에게 밟힌 악귀를 매우 사실적으로 조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석사지에서 발견된 소조상과 유사한 것들이 부여 정림사지·능사·구아리 절터, 중국 낙양 영녕사, 일본 법륭사 등에서도 확인되었다. 이 소조상은 어떤 곳에 봉안되었을까. 이 소조상들은 중국 북위 낙양 영녕사나 일본 법륭사 목탑 안에 있는 소조상의 예로 미루어 볼 때, 1층 탑신 안 사천주 주변에 조성한 예불도나 변상도의 일부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제석사지 목탑을 장식했던 소조상은 언제 폐기되었을까. 그 시기나 이유는 알 수 없다. 다만 통일신라시대 기와가 절터에서 발견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통일신라시대까지는 법등이 이어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다시 '관세음응험기'의 기록을 살펴보자. 제석사가 전소되었지만 초석에 둔 불사리 수정병과 반야경을 담은 목칠함이 온전한 것에 감화 받은 무왕은 절을 다시 짓고 이것들을 봉안하였다고 한다. 이 때 봉안한 반야경과 사리병은 어디로 갔을까?
/진정환 국립전주박물관 학예연구사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