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소비자 유혹하는 소셜캠페인 7가지 비밀

성재민 본보 문화전문시민기자 '소셜 캠페인 마음까지 마케팅하라' 펴내

대한민국 발'말춤'이 전 세계를 들썩이게 하고 있다. 가수 '싸이'의 '강남 스타일'이 지구촌 곳곳으로 퍼져 나가며 열풍을 일으킨 데에는 쉽고 재밌는 노래, 소위 'B급 문화'를 통한 카타르시스 등이 주효했다는 분석. 성재민 본보 문화전문시민기자(29)가 '소셜 캠페인 마음까지 마케팅하라'(북 카라반)를 펴낸 이유 역시 '데이터 쓰나미'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팁(Tip)을 주기 위해서다.

 

그는 "소셜 미디어 등장과 함께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다 보니 커뮤니케이션의 주체였던 기업·브랜드의 힘은 약화되고, 소비자 힘은 강해졌다"면서 "기업이 소셜 미디어에 주목하는 것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신뢰를 쌓아가는 통로로 활용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가 꼽은 성공하는 소셜 캠페인의 7가지 코드는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요소를 분석해놓은 것. 아르바이트 학생들에게 깜짝 공연 선물을 안긴 코오롱, 여자친구가 남자친구에게 축구 경기 대신 클래식 공연장에 갈 것을 유도해 그곳에서 짜릿한 반전의 경기를 볼 수 있도록 한 맥주 브랜드'하이네켄' 등은 '뜻밖의 행운'(세렌디피티·serendipity)의 첫 번째 지침으로 제시됐다.

 

사람들이 명품에 열광하는 것은 선택받은 소수가 누리는 특권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오직 100명만 누릴 수 있는 포드의 신차 탑승, 페이스북 포토 태깅만 하면 신제품 가구가 내 손에 들어오도록 하는 세계적 가구 브랜드 '이케아'의 '특별한 경험'은 두 번째 코드. 싸이가 월드 가수로 자리매김하게 해 준 '강남 스타일'의 돌풍은 세 번째 코드 재미의 힘에서 찾았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지역의 재발견을 시도한 성공 요소'로컬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전라북도가 블로그를 만들고, 트위터·페이스북으로 연결한 홍보 정책이 우수 사례로 소개됐다. 결국 그가 내린 결론은 뜻밖의 행운, 특별한 경험, 재미, 공익성, 지역성, 진정성 등을 적절하게 가미해 사람들이 소셜 캠페인에 매력을 느끼고 스스로 참여하고 싶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것. 급변하는 소셜 미디어 시대에 커뮤니케이션 변화를 요구받는 이들에게 딱 '안성맞춤'인 책이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7일 개최

법원·검찰장애인 속여 배달 노예로 만든 20대 남녀⋯항소심서도 ‘실형’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

정치일반김도영 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위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