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sh flow
국립국어원에서는 '캐시 플로(Cash flow)'를 '현금 흐름'으로 순화하고 널리 쓸 것을 권장하고 있다. '캐시 플로(Cash flow)'는 '일정한 기간 동안 기업에 유출되고 유입되는 자금액'을 일컫는 말이다.
기업에 투입된 자본은 여러 가지 자산 형태를 취한다. 그렇지만 결국 자본은 재화나 서비스에 편입되어 판매되고 현금 수입을 수반한다.
△ 자금 관리
기업의 영업 활동은 현금의 유입과 유출 과정으로 크게 구별 할 수 있다. 현금의 유입은 '캐시 인 플로(cash-inflow)'라 하고 현금의 유출은 '캐시 아웃 플로(cash-outflow)'라 한다.
'캐시 플로(cash-flow)' 관리는 자금 관리의 문제이다. 기업 경영에서는 '캐시 플로(cash-flow)' 관리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캐시 플로(cash-flow)'는 한 기업의 일정 기간 중 상각 전 이익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는 이익 유보액과 감각 상각액 등 현금 지출이 없는 비용의 합계와 같다. 이때는 내부 자금 조달액을 의미하게 된다.
△ 자산
투자가 없으면 수익도 없다. 10억을 벌고 싶으면 1억을 투자해야한다는 말이 있다. 돈은 투자를 잘 해야 하는 거지 무조건 안 쓴다고 모아지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사업을 하는 사람은 현금 흐름을 머릿속에 그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부자들의 음모』라는 책을 쓴 부자 아빠 로버트 기요사키(Kiyosaki, Robert T.)는 부자가 되려면 자본 이득보다 꾸준히 현금을 창출할 수 있는 자산을 매입하라고 조언한다. 현금이 나의 통장에 계속 들어온다면, 더 나아가 주머니에 현금이 마르지 않는다면 가격이 떨어져도 여유를 가질 것이라고 한다.
△ 이렇게 쓰세요
- 현금 흐름을 항상 머릿속에 그려라.
- 현금 흐름으로 사업을 확장하기는 어렵다.
- 매상이 줄어도 가게를 열어야 현금 흐름이 발생한다.
전주대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