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GA, KLPGA, LPGA 등 거의 모든 프로골프투어의 시즌 마감이 가까워지고 있다. 이때쯤이면 프로골퍼들의 희비가 엇갈린다. 다행히 올해 성적이 좋은 선수들은 편안하게 다음 시즌을 준비하면 되지만, 성적이 좋지 못한 선수들은 내년시즌 시드(seed)를 걱정해야 한다. 만약 시드대회(Q-school)에 나가서도 성적이 좋지 못하다면 내년 한해는 쉬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가 있다.
모든 프로투어에게 내년에 시드를 유지하기 위한 조건은 다르다. 각 투어마다 가지고 있는 시드 유지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우승을 초반에 해서 시드 유지 조건을 갖춘 선수는 편안한 마음으로 대회에 나가 좋은 성적을 내지만 그렇지 못한 선수는 매 대회마다 살얼음판을 걷는다. 이러한 것이 선수들의 가장 큰 스트레스가 아닐까한다.
드라이버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클럽의 헤드스피드이다. 오늘은 클럽 헤드의 스피드보다 볼의 구질이 드로우가 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자. 볼을 왼쪽으로 살짝 돌아가면서 날아가는 구질을 드로우라고 한다. 이 드로우 구질을 만드는 방법으로 그립을 잡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사진1과 같이 왼손의 두 번째 너클이 위쪽에서 바라 봤을 때 보여야하며, 많이(사진2) 돌아가게 되면 볼이 드로우가 아니고 훅이 나기 마련이다. 세 번째 너클이 보이면 많이 돌아간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사진3과 같이 너무 돌아가지 않고 너클을 확인 할 수 없는 경우를 위크 그립이라 하며, 이 그립은 슬라이스 구질을 만들어 낸다.
오른손은 항상 왼손바닥과 오른손바닥이 마주봐야 하므로 오른손바닥은 왼손바닥을 정확히 바라봐야 그립의 완성이라 할 수 있다. 왼손의 모양은 바른 거리나는 그립으로 충분히 돌아와 있는데, 오른손이 손바닥을 바라보지 못하면,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며, 이는 거리를 멀리 보낼 수 없는 그립이 된다.
세계랭킹을 주도하는 유명 선수들의 비거리는 평균 비거리 보다 더 멀리 나가는 것이 일반적인 사실이다. 따라서 거리가 멀리 가는 선수가 골프를 더욱 쉽게 칠 수 있으며, 이 같은 사실은 성적에 반영된다. 그래서 아마추어 골퍼들도 거리 내는 방법의 하나인 헤드스피드와 그립을 강하게 잡아준다면 비거리를 늘리는 보약이 될 것이다.
써미트골프아카데미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