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념공원 조성 지방비 부담 요구…전북도 난색 / 국가기념일 제정, 단체들 대립각에 문체부 '보류' / 농민군 지도자 유골 안장도 지자체 다툼에 '답보'
동학농민혁명과 관련해 산적한 해결과제들이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가고 있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 조성,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 동학농민군 지도자 안장 등이 표류하면서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계승하겠다는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14일 전북도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민간자본보조 방식으로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기재부에서는 지자체 자본보조 방식 전환을 통한 사업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즉, 국가사업에서 지자체 보조 사업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전북도는 사업 방식을 전환할 경우 향후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에 대한 관리 운영비가 연 30억 원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측하고, 애초 계획대로 국가 사업화해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히고 있다.
더불어 행정자치부에서 지난 5월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 조성을 위한 공유재산의 무상 양여에 대해 불가능하다는 뜻을 내놓으면서 부지 조성 문제도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태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의 부지 소유 비율은 전북도 44.68%, 정읍시 49.78%, 국유지 5.41%, 사유지 0.13% 등이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정읍시 덕천면 황토현 전적지 내 33만6992㎡ 부지에 조성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부지 조성, 국가사업의 지자체 사업 전환 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하면서 사업은 자연히 연기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 10여 년을 끌어왔던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 문제도 단체들이 대립각을 세우면서 진척되지 못하는 모양새다. 문체부도 단체별 반대 목소리를 의식한 탓인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 국가기념일 합의안 제출 보류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추진위원회와 관련 단체들은 지난 3월 3일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 추진활동보고회’를 열고 전주화약일(6월 11일)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올바른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을 위한 정읍시민대책위원회 등은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의 공정성을 요구하면서 전주화약일 제정에 대한 반대 뜻을 나타냈다. 이들 단체는 동학농민혁명군의 첫 전승일인 황토현전승일(5월 11일) 또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명예가 회복된 특별법 공포일(3월 5일)을 국가기념일 제정안으로 요구하고 있다.
동학농민군 지도자 유골을 안장하는 일도 지자체 간 다툼으로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와 진도군이 장소, 유골 DNA 검사 등을 두고 대립하면서 안장은 연기되고, 문체부에서도 상호 합의해 처리하라며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동학농민군 지도자 유골은 2002년부터 현재까지 전주역사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돼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