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명승지 소재 삼아 지은 소나무 같은 시조

진안 출신 박부산 시인〈햇빛 찬 보금자리〉

박부산 시인이 4번째 시조집 <햇빛 찬 보금자리> (신아출판사)를 냈다.

 

그는 전체 5부로 나눠 109편의 작품을 담았다.

 

“시조는 소나무와 다를 바 없어 그 운치에 매료돼 시작했다”는 저자는 시에 대한 태도와 주변의 일상, 도내 명승지를 소재로 삼아 운을 맞췄다.

 

‘대 이어 허름해도 양지바른 한옥 집’인 ‘그리운 고향집’은 ‘약초 향기 진동하고 꿀벌이 집 지키는/물곡리 춘헌당 한약방’으로 ‘손자와 할아버지 쉬는 시간 마주 앉아/감초 대추 단 맛으로 바둑판 열’ 내리는 추억이 서린 곳이다.

 

하지만 폐교된 교정에는 ‘정적을 깨뜨리는 매미 울음소리/외로운 고추잠자리’만 맴돈다. ‘줄지어 선 향나무 정든 얼굴 기다리고,/교실바닥 신발 한 짝 반나마 문 열었는데/이농(離農)의 서글픈 사연/거미가 엮고 있다//가쁜 숨결 머무는 교단에 다시 올라/땀 흘릴 수 있다면 오죽이나 좋을까/칠판의 큰 글씨처럼’ 어릴 적 번잡스러운 교실 광경을 떠올리며 ‘지키자 학교를’라는 글씨를 눈여겨 보게 된다.

 

시인 박부산 씨는 진안 출신으로 중앙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해 교사로 정년 퇴임했다. <문학과의식>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저서로 시조집 <날아가지 못하는 새> , <세월이 머무는 자리에서> , <번지 없는 시의 집> 이 있다.

이세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고창심덕섭 고창군수, 김병기 원내대표·한병도 예결위원장 만나 지역 핵심사업 건의

정치일반정년 1년 늦추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미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