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과정·문학열정 등 담아
안도현(우석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시인의 시 ‘너에게 묻는다’와 ‘연탄 한장’, ‘겨울밤의 시 쓰기’등은 이러한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안 시인이 산문집을 묶었다. <그런 일> (삼인). 직업이라고 믿었던 ‘시 쓰기’를 멈춘 지 3년여. 그런>
“시 한 편 쓰지 않고 천 그릇도 넘게 밥을 먹었다”는 시인은 “ ‘마감’이 없는 저녁은 호사롭고 쓸쓸하였다. 이러다 시가 영영 나를 찾아오지 않으면 어쩌나 하는 조바심의 무게는 헤아리기 어렵다. 하룻밤에 백 편이라도 시를 꺼낼 것 같고 또 꺼내야만 한다는 생각 때문에 오래 뒤척인적도 많았다”고 털어놓았다.
‘비유마저 덧없는, 참담한 광기의 시절’을 견디고 있는 시인은 시에 대한 애정과 열정을 또다른 형태의 글쓰기로 돌려놓았다.
<그런 일> 은 그가 14년 동안 쓴 글을 모으고, 버리고, 꿰매고, 다듬어 내놓은 것이다. 시심의 근원인 고향 경북 예천에서 “내성천 물길을 따라 오르내리던 한 마리의 어린 물고기”가 시인의 꿈을 키우다 전교조 해직교사가 되고 전업작가가 되었다가 대학 강단에 서기까지, 시인의 성장담이자 문학여정이다. 그런>
수많은 변주로 등장하는 고향과 문학청년시절의 고민, 시작노트, 서평, 교우관계까지 작품의 근원과 맥락을 내밀하게 보여준다. 등단시 ‘낙동강’(1981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당선작)의 실체는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이며,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고 묻는 연탄은 외로웠던 대구 유학시절의 애환을, ‘서울로 가는 전봉준’은 당대를 사는 시인으로서 세상에 빚을 갚는 일이었다. 글의 대부분은 이렇게 시를 그리워한다.
시인에게 시를 읽고 쓰는 것은 이 세상과 연애하는 일이다. 따라서 “시간을 녹여 쓴 흔적이 없는 시, 시간의 숙성을 견디지 못한 시, 말 하나에 목숨을 걸지 않은 시”는 신뢰하지 않는다. “한 줄 한줄이 전전긍긍이었으므로 이 산문들은 그 흔적들이라고 해두자. 하지만 그런 시간이 없었다면 나는 아무것도 아니었을 것이다. 나를, 지금, 이곳에, 나로 있게 해준 말들 앞에 옷깃을 여민다.”
시를 쓰지 않는 이 시간, 더 치열하게 시를 숙성시키고 있는 시인의 산문집은 친절한 시학강연이자 수십편의 문학강연이다. ·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