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높을 고 넓을 창…고창의 100곳 서사시로 읊다

이기화 소장, 향토대서사시집 〈고창(高敞)〉 출간 / 임진왜란 이전 전통지명 100곳 역사적 배경 풀어

▲ 본래 고창은 백제 때 모량부리(毛良夫里)로 불렸다. 모양은 산남수복(山南水北)의 양지바른 보리밭을 의미한다. 하지만 현재 고창으로 바뀌면서 보릿고을을 상징하는 데 그치고 말았다. 사진은 고창 모양성. 전북일보 자료사진

“고창의 땅 이름은 통일신라의 경덕왕 16년에 예부터 전해오던 고유한 땅이름을 당나라식 2자 한자로 통일 표기함으로써 개악(改惡)되고 말았지. 토박이 땅이름을 소리나 뜻으로 한자식 표기를 해 고유성과 순수성을 잃게 되어버렸어.”

 

반세기 동안 고창 향토사를 조사·발굴해온 이기화(82) 고창지역학연구소장이 향토대서사시집 <고창(高敞)> (도서출판 기역)을 펴냈다.

 

우리가 거둔 모든 문화는 향토적인 것에서부터 승화됐다는 그는 오거리당산제 재연과 고창읍성 축성연대 규명, 동리 신재효 선생 연구 등 고창 향토사 연구에 앞장서왔다. 홀로 사적을 다니면서 천주교 순교터를 새로 발견하고 전봉준 장군의 태생지가 고창임을 규명해 공로상을 받기도 했다. 역사의 주인공은 사람이라는 역사의식 아래 지난 1980년대부터 30년 동안 고창의 성씨를 조사, <고창성씨책> 을 발간했던 그가 이번에는 땅에 집중했다. 이 소장은 땅은 우리들의 생활터전이자 미래지향적인 공간으로 우리들의 선영(先塋)이 있고 역사, 지리, 언어, 민족 등을 통해 이룩한 문화가 숨 쉬고 있다고 말한다.

 

본래 고창은 백제 때 모량부리(毛良夫里)로 불렸다. 모양은 산남수복(山南水北)의 양지바른 보리밭을 의미한다. 하지만 현재 고창으로 바뀌면서 보릿고을을 상징하는 데 그치고 말았다.

 

따라서 책은 상도솔(上兜率) 하도솔(下兜率) 월운방(月雲坊) 오뱅이골(五方源) 등 임진왜란 이전의 전통지명 100곳을 선정해 지명과 땅에 얽힌 역사와 고유성을 찾아간다.

 

그리고 이를 기록이 아닌 서사시로 읊는다. 서사시는 주관적 감성에 주안을 둔 서정시와 달리 객관적 사실과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섣불리 시도조차 하기 어렵다.

지명은 100곳이지만 풀어낸 시는 227편에 달한다. ‘개갑장터의 유래’편은 그가 발견해 지금은 향토문화유산 제1호로 지정받은 천주교 신자 최여겸(1762-1801)의 순교지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의향(義鄕)의 고창’편에서는 백제부터 고려, 조선 시대 인물들의 충절의식과 임진·정유왜란 당시의 의병창의, 동학농민혁명, 구한말 의병항쟁, 민족사학 고창고보 설립 등 그가 고창을 의향으로 정립하는 역사적 배경에 대해 풀어낸다.

 

전라북도 문화재 전문위원과 전국문화원연합회 부회장, 고창문화원 원장을 지낸 그는 현재 고창지역학연구소장과 국산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 전북협의회 회장, 한국문인협회 회원, 전북문인협회 회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보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인권침해 신고하려면 광주까지”…전북도, 인권사각지대 여전

정읍정읍 내장산 가을 단풍 물들다…"다음 주중 절정 예상"

정읍윤준병 국회의원, 정읍역 광장 재구조화 사업 구상 제시

사회일반전북 112 거짓신고 매년 증가⋯"처벌 강화해야"

법원·검찰檢총장대행 이례적 입장문…"대장동 항소안하는게 타당…제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