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관급 이상 80명중 광주전남 16명·전북은 7명 / 대다수 서울 기반…지역밀착인사 배려 아쉬워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를 지명함으로써 새정부 1기 내각구성이 사실상 완료됐다. 총리를 비롯해 17개 부처의 장관 및 차관 후보자를 지명하고 차관급인 청와대 수석 12자리를 모두 채웠기 때문이다.
새정부 1기 내각에 대해 “지역안배가 대체적으로 잘 됐다”는 일반적인 평가 속에 “시민단체와 호남을 중용한 인사”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지역밀착형 인사의 등용이 적다는 지적과 함께 ‘문재인 대통령과의 거리’가 인사의 잣대가 된 것 아니냐는 평가를 내놓고 있기도 하다.
△호남출신 비중 눈에 띄지만…
4일까지 지명된 차관급 이상 80명을 분석해보면 호남이 23명으로 전체의 28.75%를 차지한다. 영남의 27명(33.75%)에 비해서는 적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나은 편이다.
그러나 ‘호남권’이 아닌 ‘전북’을 별도로 놓고 따져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전북에 배정된 자리의 숫자는 물론 비중에서도 전남·광주에 비해 크게 밀리기 때문이다.
총리 및 장관의 경우, 호남지역에서는 모두 5명이 (후보)지명을 받았다. 이중 전북인은 정읍 출신의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1명에 불과하고, 광주·전남은 이낙연 총리를 비롯해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영록 농림식품부 장관, 박상기 법무부 장관 등 5명이나 된다. 게다가 문 대통령이 4일 검찰총장 후보로 광주 출신의 문무일 부산고검장을 지명함에 따라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이 같은 지역에서 나올 수 있는 가능성도 열렸다. 이낙연 총리와 김상곤 부총리, 김영록 농림식품부 장관, 문무일 검찰총장 후보 등은 모두 광주일고 출신이기도 하다.
△자리는 물론 숫자로도 밀려
장관급 인사에서도 광주·전남은 전북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다. 청와대의 양대 축이라고 할 수 있는 비서실장(임종석·전남 장흥)과 정책실장(장하성·광주)을 차지했으며, 대통령 업무지시 1호에 의해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된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겸 정책특보에도 전남 함평 출신인 이용섭 전 의원이 임명됐다. 국민경제자문위원회 김광두 부의장도 전남 나주 출신이다.
차관급 이상으로 범위를 넓혀 살펴봐도 호남 전체 23명 중 전북은 7명에 불과하고 광주·전남은 거의 2배인 16명이나 된다. 전북의 장관 및 장관급으로는 김현미 장관(정읍)과 김이수 헌법재판관(고창), 이효성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익산)이 있다. 차관급으로는 청와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전주)과 심보균 행정자치부 차관(김제),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남원), 조현 외교부 2차관(익산)이 있다.
그러나 이들 전북 출신 장·차관 대부분은 고교 졸업후 줄곧 서울에서 생활해온 출향 인사들이다. 청와대에 한병도 정무비서관(익산), 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전주), 황태규 균형발전비서관(우석대 교수) 등이 발탁되긴 했지만 새정부 1기 내각에 지역밀착형 인사가 배려되지 못한 점은 아쉽다는 지적이다.
△과제와 희망
전북에서는 그동안 ‘호남이 아닌 전북몫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호남권으로 한데 묶이다보니 알맹이는 광주·전남이 차지하고 전북은 들러리만 서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번 인사도 그러한 우려를 또다시 상기시키는 계기가 됐다.
한편으로는 희망적인 부분도 있다. 청와대 정책실장 산하의 균형발전비서관을 전북인이 맡게 된 것 등이다. 낙후된 전북지역 출신이 균형발전비서관을 맡으면서 새만금사업 등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다양하고 활발한 정책이 펼져질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