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당 모임 국민통합포럼, 외교·안보 주제 토론회 / 공감대 형성 주력 눈길… 내년 지방선거 연대 논의도 / 박지원 등 비안철수계 는 부정적… "명분·실리 없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양당 간 연대 등 협력 추진의 걸림돌로 여겨졌던 안보정책과 지역주의 분야에서 공통분모를 적극적으로 모색하며 연대 움직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러나 호남 중진을 중심으로 양당 간 연대에 강한 거부감이 여전해 ‘정면충돌’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양당 의원들의 모임인 국민통합포럼은 16일 외교·안보를 주재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 참석자들은 서로간의 견해 차이를 부각하기보다는 공감대 형성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민정책연구원장인 이태규 의원은 발제를 통해 “구존동이(求存同異·서로 다른점을 인정하면서 공동의 이익을 추구한다)”를 언급하며 “새로운 비전과 가치를 모색하려면, 의견이 다른 것은 놔두고 같은 것부터 해나가는 게 중요하다”며 연대 필요성의 물꼬를 열었다.
그러면서 “햇볕정책에 대한 찬반을 떠나, 권위주의든 보수든 역대 정권은 한반도 평화 유지와 관리를 위해 남북관계 개선과 협력을 추구했다”며 “적대적 대북정책을 지향한 정권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햇볕정책을 두고 벌어지고 있는 양당 간 간극을 좁히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토론회에서는 양당의 서로 다른 지역기반을 넘어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바른정책연구소 최홍재 부소장은 “히틀러의 사례, 가까이는 김정은의 사례를 들 수 있듯 패권적 민족주의는 매우 위험하다”면서 “축소된 형태의 패권적 지역주의도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세 차례의 대선·총선을 보면 영남에서 지역주의가 완화되고 있고, 호남에서도 김 전 대통령 이후 특정 정당에 얽매이는 현상이 약화됐다. 적대적 양당 구조가 사라진 이 시기가 지역주의를 극복할 중요한 기회”라고 설명했다.
이에 국민의당 이언주 의원은 “산업화가 독재라는 부분은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공로도 부인할 수 없다. 묵은 갈등을 뛰어넘어 실용적인 정치세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화답했다.
토론회에서는 선거연대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바른정당 하태경 최고위원은 “지역정치와 패권을 청산하기 위한 양당 간 선거연대의 실질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우리 당 대표에게는 제가 말하겠다. 국민의당도 이 부분을 진지하게 논의해달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민의당 내 호남 중진 등 비 안철수계 인사들이 정책연대를 넘어선 통합 논의에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당내는 일촉즉발의 전운이 감도는 모습이다.
박지원 의원은 이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양당의 연대 움직임에 비판 목소리를 높였다.
박 의원은 tbs 라디오에서 양당 간 연대·통합 논의를 겨냥 “(바른정당과의) 통합이라는 것은 40대 20을 생각했던 것”이라면서 “우리가 여당도 제1야당도 아니고, 40석이 돼서 뭘 붙여 봐야 거기서 거기인데 뭘 연대한다는 것인가. 연대해서 무엇을 이끌고 갈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연대는 사실 방송법 개정 등 더불어민주당이 반대하는 것을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국민의당이 (협력해) 설득하는 것도 있을 테고, (반대로) 적폐청산 같은 것은 민주당과 해야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책연합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는다. 그렇게 딱 ‘둘이 하겠다’는 것은, 명분상에도 그렇고 정치적 실리 면에서도 조금 저능아들이 하는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국민의당 전북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어느 정도 힘의 균형이 맞는 곳과의 연대도 아닌데 굳이 연대를 해야할 필요성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당내 일부의 이같은 움직임이 오히려 호남의 민심만을 자극하는 것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