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세월은 약…기품있는 서정시로 표현

남정휘 시집 

남정휘 시인이 첫 시집 <그리운 고향 언저리> 를 내놨다. 시집은 5부로 구성돼 있다. 제1부에서 4부까지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제목으로 나뉘고 이에 걸맞은 시편들이 균배 돼 있다. 시인은 사계절을 추억하며 각 계절의 말미마다 그때가 ‘그리울 거’라고 반복해 강조한다. 마지막 제5부는 근황이란 제목으로 고향과 그곳 사람들을 바라보는 시인의 정겨운 시선, 사유가 담긴 시편이 수록돼 있다.

 

“세월은 깃털처럼 가볍게 날아가고/ 시간은 소금처럼 짭쪼름히 폐부를 후빈다.” ( ‘세월과 시간의 숨바꼭질’ 전문)

 

시인이 걸어왔던 삶의 여정은 시간마다 힘들었다. 세월은 약이었다. 그것은 다른 인간도 함께 겪는 범상한 ‘시간의 연속’에 불과한 것이었다고 시인은 말한다.

 

호병탁 문학평론가는 “시집 <그리운 고향 언저리> 는 표제 그대로 ‘그리운 고향’과 ‘언저리’의 사계절과 그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풍광을 유연하고 넉넉한 관점으로 묘파하고 있다”며 “기품 있는 서정시의 경지에 달해있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남정휘 시인은 문학시대를 통해 문단에 나왔다. 정도학원장, 남정영어학원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등이 있다.

문민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