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힘차고 깊이 있는…남자 명창 5인의 소리판

‘판소리 다섯바탕의 멋’ 우진문화공간 24~28일
보성소리등 유파별 다양한 바디 소리 감상 기회

▲ 전인삼·박춘맹·왕기석·송재영·윤진철

올해로 스물여덟 번째를 맞은 ‘판소리 다섯바탕의 멋’은 50대 남자 명창 다섯의 힘차고 깊이 있는 소리로 꽉 채운다. 현재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전인삼, 박춘맹, 왕기석, 송재영, 윤진철 명창이다. 각자 소리도 다르지만, 유파도 달라서 다양한 바디의 소리에 흠뻑 취할 수 있다. 소리의 본향 전주의 위상을 지켜낸 무대답게 최고의 명창 다섯이 24일부터 28일까지(평일 오후 7시, 주말 오후 5시) 닷새간 전주 우진문화공간 예술극장에서 혼신을 다해 소리판을 벌인다.

△전인삼 명창, 동편제 ‘흥보가’(제비노정기부터 놀보 개과천선까지)

전인삼이 부르는 흥보가는 강도근 바디로 송만갑, 김정문, 강도근, 전인삼으로 전승되고 있는 동편제 본령의 바디다. 강도근 바디 흥보가는 주요 눈 대목이라 할 수 있는 가난타령, 제비노정기, 박타령, 놀보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청이 높고 꾸밈없이 우겨내는 발성, 시작과 끝을 명확히 하는 동편제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고루 갖추고 있다.

△박춘맹 명창, 보성소리 ‘심청가’(범피중류 대목에서부터 눈 뜨는 대목까지)

범피중류 대목에서부터 눈 뜨는 대목까지는 심청가의 후반부에 해당하는데, 심청가 중에서도 가장 극적이고 어려운 난이도로 음악적 숙련을 필요로 한다. 특히 아니리 하나 없이 30여 분을 넘게 소리로만 잇는 범피중류 대목에서부터 심청이 물에 드는 대목, 보성소리의 음악적 기교와 깊이를 잘 느낄 수 있는 추월만정 대목 등은 보성소리 심청가의 눈대목이다.

△왕기석 명창, 박초월제 ‘수궁가’(초입부터 끝까지)

박초월의 수궁가는 유성준, 정광수, 임방울, 박초월로 이어지는 것으로 임방울과 정광수의 소리가 혼합돼 있다. 이 수궁가는 고음과 미성의 소유자인 박초월, 남해성의 소릿제를 물려받아 남자가 소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왕기석은 감성 표현이 섬세하고, 사설 전달력이 뛰어나 관객이 소리에 자연스럽게 몰입하도록 만든다.

△송재영 명창, 동초제 ‘춘향가’(박석고개부터 동헌경사 대목까지)

이몽룡은 춘향과 이별하고 한양으로 올라가 장원 급제한 후 어사가 돼 다시 남원으로 내려와 춘향 어미를 만나게 된다. 춘향 어미는 걸인 모습을 한 어사또를 보고 문전박대하지만, 향단의 도움으로 옥중에 있는 춘향을 만난다. 다음 날 변학도의 생일잔치가 벌어진 동헌에 어사또가 들어서고, 만인의 축복 속에 춘향과 어사또는 재회의 기쁨을 누린다.

△윤진철 명창, 보성소리 ‘적벽가’(삼고초려대목부터 새타령까지)

적벽가는 <삼국지연의> 가운데 적벽강에서의 싸움과 앞뒤로 벌어지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으로 화용도라고도 불렸다. 우조 위주의 남성적인 소리의 특징을 가진 보성소리 적벽가는 고제 판소리의 예스러운 맛이 남아있는 소리다. 삼고초려로 시작해 군사 설움 대목, 조조 군사 조련하는 대목, 조자룡 활 쏘는 대목, 적벽대전, 새타령 등으로 이어진다.

문민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