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의 성명 관련해서는 직접 대응하지 않을 방침
금융위와 국회 정무위 상대로 지정 필요성 강조할 예정
국민연금 보도에 대해선 도-도의회-전주·완주 연합 대응 결정
부산상의는 미온적, 국민연금은 ‘때늦은 대응’ 지적
전북도가 부산상공회의소의 ‘전북혁신도시 제3금융중심지 반대’ 성명과 혁신도시로 이전한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에 대한 일부 언론의 잇딴 흠집내기에 미온적으로 대응하는 것에 비판이 제기된다.
전북도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에 대해서는 도의회와 전주시·완주군 등과 대응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부산상의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전북도가 기금운용본부 이전이 결정될때부터 현재까지 일부 언론을 중심으로 전북혁신도시를 폄하한 보도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응한 것이 현재의 상황을 초래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북도는 부산상의 성명에 대해 일단 지켜본다는 방침을 정했다. 민간단체에서 내놓은 성명에 대해 광역자치단체가 일일이 대립각을 세우면, ‘금융중심지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하는 금융위원회에 부정적인 모습을 보일 수도 있다는 배경에서다.
임상규 도 기획조정실장은 “정부에서도 혁신도시 금융중심지 지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데, 자치단체가 나서서 논란을 키우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본다”며 “오히려 국회 정무위원회나 금융위원회를 상대로 지정필요성을 어필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단계에서 일일이 대응하기보다, 추후 혁신도시 추가 공공이전이 시작될 때, 금융공공기관이 혁신도시에 내려올 수 있도록 강력 대응하는 게 낫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미국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의 ‘(전북) 혁신도시에 있는 국민연금공단의 기금운용본부장이 되려면 공동 숙소 생활과 축사 분뇨 냄새를 감내해야 한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의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 건에 대해서는 도와 도의회, 혁신도시가 위치한 전주시·완주군 등과 공동대응할 계획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은 17일 간부회의에서 결정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의 대응방식이 안일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부산상의의 성명은 임의 단체의 움직임으로만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부산의 언론과 정치권, 부산지역 경제계가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국회 금융위원회 소속 부산 여야 의원들은 지난 10일 금융중심지 추가 지정을 검토하는 금융위원회 용역 진행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하며 공세적인 대응방침을 밝힌 상태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전주이전에 대한 발목잡기 보도 역시 마찬가지다. 이번 월스트리트 저널의 보도에 앞서서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에 대한 보도는 ‘논두렁 본부’,‘기금운용본부 전주이전 리스크’등 발목잡기 보도가 지속돼 왔다. 그런데 도는 “국민연금공단 흔들기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서 외에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았다.
정치권 관계자는 “항상 현안사업을 두고 다른 지역 간 마찰이 생기면 정부가 ‘전북의 현안사업을 뒤에서 배려해주고 있다’는 이유로 조심스럽게 대응하는데, 도대체 정부가 전북의 현안사업에 대해 얼마나 배려해주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적극 나서야 할 시기와 미온적으로 대응할 시기를 구분조차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