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인구정책 대토론회
거주 인구 최근 3년간 187만명 185만명 감소한 반면
체류인구는 3011만1036에서 3883만1676명으로 증가
전북도가 인구감소와 지역불균형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주인구보다 체류인구 중심으로 인구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인구가 계속 줄고 있는 상황에서 단기간에 정주인구를 늘리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관광객 등 유동인구 늘려 지역경제를 활성화하자는 것이다.
도가 10일 개최한 ‘전라북도 인구정책 대토론회’에서 김동영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인구정책은 출산율 제고를 위한 인구증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인구가 계속 줄고 있는 전북에서는 이를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며 인구정책에 ‘체류인구’를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체류인구는 주민등록상 거주인구를 제외하고 관광을 목적으로 방문한 관광객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김 연구원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전북의 거주인구는 지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187만1560명에서 185만4607명으로 줄고 있는 반면, 체류인구는 3011만1036명에서 3883만1676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체류인구는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여섯 번째로 높은 수치다.
김 연구원은 “거주인구에 비해 체류인구가 많은 상황으로 관광객 맞춤형 문화관광콘텐츠 및 체험콘텐츠 개발을 통해 계속 늘려가는 것이 필요하다”며 “또 향후 체류인구를 활용해서 지역개발의 수요 산정과 예산지원, 도시계획 수립, 예비타당성 조사, 교부세 산정 등에 활용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도는 이날 토론회에서 인구문제 대응을 위한 인구조례 제정 및 민·관위원회 구성·운명 등 추진체계를 마련하고 각 분야멸 시책을 발굴, 연말까지 인구정책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송하진 지사는 “이번 대토론회를 시작으로 인구증대를 위해 도민들과 함께 계속 소통하면서 현안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