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관련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
최근 ‘독립운동’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인식이 시민, 학생, 여성 등 평범한 사람들에게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SNS 게시물 11만여건을 바탕으로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들은 1919년 3.1운동과 4월 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대한제국에서 대한민국으로 가는 시작점’으로 인식했다.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관어를 분석한 결과 ‘시작’이라는 핵심어가 가장 많이 등장했다. 독립운동가 재평가에 대한 바람이 담긴 ‘독립운동가’와 일본의 사과와 친일 청산에 대한 요구가 반영된 ‘일본’ ‘친일’이라는 핵심어가 그 뒤를 이었다.
독립운동가 재평가 방안으로는 ‘후손에 대한 지원’이 597건으로 가장 많이 언급됐다. 독립유공자 발굴, 공적 전수조사,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관심도 강조했다.
친일 청산 방법으로는 ‘후손의 재산 환수’ ‘친일 예술가에 대한 재평가’ ‘친일 인명 공유’ 순으로 제시됐다.
‘독립운동’ 연관어로는 평범한 사람들의 독립운동에 주목하는 흐름을 보였다. 2년 전 같은 기간 안중근, 남자현 열사, 함석헌 등 유명 애국지사에 대한 연관어가 많이 나타난 데 비해 시민, 학생, 여성 등 핵심어가 언급량 상위를 차지했다.
독립운동 관련 인물로는 유관순이 4354건으로 가장 많이 언급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652건 언급된 것에 비해 7배 이상 급증했다. 2259건의 김구, 1631건의 안중근도 주목받았다.
독립운동 관련 장소로는 1483건 언급된 독립기념관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다. 서대문형무소가 912건, 상해임시정부가 473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문체부 국민소통실 정책 담당자는 “많은 국민들이 독립운동가 한두 사람이 아닌, 일반적이고 평범한 사람들의 노력으로 대한민국이 수립됐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