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신 진연의궤 1902’ 한국궁중문화의 멋과 맛 전한다

전북도립국악원 교육학예실 교수음악회, 29일 소리문화전당 모악당
고종 진연의궤에 쓰인 정재악장 춤·음악·음식 연계, 전문가 해설 더해

조선왕조의 발상지인 전주에서 조선왕조의 마지막 황제 ‘고종’의 진연의궤에 사용한 정재악장의 춤과 음악이 전문가의 스토리텔링으로 다시 깨어난다.

전라북도립국악원(원장 이태근)의 교육학예실 교수음악회로 ‘신진연의궤 1902’를 올린다고 밝혔다. 오는 29일 오후 7시 30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이번 공연 주제인 ‘신진연의궤(新進宴儀軌)’는 조선왕조의 마지막 황제였던 고종의 즉위 40주년을 기념하고 망륙지년(望六之年)을 축수하기 위해 임인년(1902, 고종39년)에 행했던 잔치의 전말을 기록한 고서 <진연의궤> 에서 가져왔다. 조선왕조 궁중에서 발행한 고서로, 잔치를 올린다는 의미의 ‘진연’과 격식을 갖추고 연향을 의미하는 ‘의궤’가 더해져 국가 연례를 기록한 책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번 공연에서는 고종의 진연의궤에 사용됐던 정재악장의 춤과 음악, 준비 음식을 연계한 스토리텔링을 풀어놓는다. 궁중연희와 관련한 장악원(掌樂院)의 전악(典樂)과 궁궐 밖 명창·명인의 전통음악을 선보이며 조선 발상지인 전라북도와 전주의 위상을 높여 전통예술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다.

전북도립국악원 교육학예실의 각 전공별 교수들은 전통음악인 국악과 전통음식을 연계해 국악을 좀 더 친근하고 가깝게 향유할 수 있는 작품을 선보이겠다는 각오다. 한식전문가인 차경희 전주대 한식조리학과 교수가 자리를 함께해 전통음식에 대한 심도 있는 해설을 덧붙일 예정이다.

이번 무대는 총 일곱 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여는 무대는 1902년 만들어진 조선의 마지막 의궤 ‘진연의궤’를 영상과 함께 우조시조 ‘월정명’이 채운다.

첫 번째 무대는 효명세자가 만든 궁중정재 ‘춘앵전’과 진연 잔칫상을 선보이며, 두 번째 무대는 민속 악(樂)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와 순창 고추장이 합을 만든다.

특별히 이번 교수음악회를 위해 함께 한 명인 이태백의 구성으로 민속악 가야금 병창 ‘씻김굿’과 뜸북국이 준비돼 있다. 민속 무(舞)인 ‘교방굿거리’와 잡채가 합을 이루는 네 번째 무대에 이어 궁중정악 ‘천년만세’와 골동반이 함께 어우러지며 음악회에 참맛을 더한다.

이어 민속 가(歌) 남도민요 ‘육자배기, 자진 육자배기, 삼산반락, 개고리타령’이 백산자(白散子)를 만나고 마지막 무대로 민속 악 ‘삼도농악가락 앉은 반 사물놀이’와 탁주가 ‘대동(大同)’의 의미를 담아 음악회의 멋과 맛을 완성한다.

전북도립국악원 관계자는 “국악원의 전통 창의융합 토크 콘서트인 교수음악회를 통해 전라북도의 멋과 맛에 다시금 깊이 빠져드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격조, 품격과 함께 한국 궁중 문화의 매력을 동시에 전하는 연주회에 함께 해보시라”고 말했다.

이번 교수음악회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당일 공연 1시간 전인 오후 6시 30분부터 현장 좌석권을 선착순으로 배포한다.

김태경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