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경선레이스 결집력, 야권 통합신당 창당 승부수
일찍부터 민주 경선체제 돌입…선거전 과열, 편법·불법 난무
야권 민주당 강세 돌파 마련위해 통합신당 창당
도로 호남당 부정적 인식, 지도부 구축 등 변수
무소속 김관영·이용호 행보 관심사
4·15총선이 5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전북 선거판이 요동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경선 레이스에 막을 올리며 결집력을 보이고 있으며, 야권은 통합신당창당에 나서며 본선 경쟁구도 구축에 나서고 있다.
민주당은 13일부터 지역별로 경선지역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경선체제에 돌입했다. 1차 경선지역도 정해졌다. 익산갑과 완주무주진안장수는 24~26일, 익산을은 27~29일 경선을 치른다. 전북에서 지지율이 높다는 점을 감안해 경선 바람몰이로 지지세를 굳히겠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일찍부터 선거전이 과열되면서 표심을 잡기 위한 각종 불법·편법이 성행하고 있다.
야당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지율을 극복하기 위해 통합으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국민의당에서 분열한 바른미래당·대안신당·민주평화당 의원들은 민주당과 1대 1 구도를 만들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통합신당이 자리잡고 맞대결 구도를 만들면 민주당과 정면승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현역 프리미엄에 기반한 인물론을 중심으로 중진양성론을 내세우면 민심의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도로 호남당’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과제다. 전북 등 호남 정치권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킬 인물을 영입하지 못한 채 통합을 추진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의 거듭된 통합 거부와 지도부 구축문제도 변수다. 지도부 문제를 놓고 주도권 싸움이 커지면 통합 바람을 일으킬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당의 명칭을 정하는 것도 문제다. 이들 3당은 합당 후 사용할 예정이었던 ‘민주통합당’명칭을 사용할 수 없게 됐다. 중앙선관위는 해당 당명 사용 여부에 대해 불허 결정을 했다. 이미 지난 2016년 등록한 ‘통합민주당’이라는 정당이 활동하고 있어 유사정당명에 해당한다는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3당은 전북 등 호남 유권자들이 선호하는 당명 선정을 두고 고민에 빠졌다.
이런 가운데 무소속 김관영·이용호 의원의 행보도 관심사다. 김 의원은 무소속 출마를 고수할 것으로 알려졌고, 이 의원은 “3월초 거취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총선 특별취재단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