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두고 '호남 그랜드 플랜 1호' 정책 부상 전망
24일 예상되는 세종역 용역발표 맞물려 논의 분수령
유력한 대권후보로 거론되는 이낙연 의원을 비롯한 호남지역 여당 중진의원들이 지난 22일 전북도청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전라선 KTX 직선화 추진의지를 밝힌 가운데 호남선 KTX 직선화 논의 역시 지역발전을 위한 핵심의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이같은 논의는 이달 말로 예정된 KTX 세종역 연구용역 발표와 맞물려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라·호남선 직선화가 제대로 추진되려면 노선과 배차 문제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국가차원의 용역이 선행돼야 하는데 내후년 대선을 앞두고 호남·전라선 KTX 직선화 문제가 ‘호남그랜드플랜 1호’ 정책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지역구 단 1곳을 제외하고 호남에서 27석을 차지하면서 전북과 광주전남이 힘을 모아 처리할 수 있는 대형프로젝트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한 때문이다.
실제로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회 위원장인 이낙연 의원을 비롯한 호남권 의원들은 이번 간담회에서 전북과 광주전남이 함께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방안에 집중했다. 이중 전북과 광주전남을 관통하는 현안이 저속철로 전락한 호남·전라선 KTX 노선의 직선화 문제다.
호남선 KTX 노선은 충북 오송역에서 광주송정역까지 잇는 182.3km거리의 고속선이다. 그러나 이 노선은 분기점이 오송역으로 결정됨에 따라 전북도민은 서울행 KTX를 이용할 때마다 20km를 우회했다. 설상가상으로 호남지역 승객들은 요금까지 추가 부담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호남정치권은 오송역으로 약 20km정도 동쪽으로 우회하는 현 노선 대신 천안아산역에서 세종시를 거쳐 공주역을 직선으로 잇는 노선을 신설하는 방안을 내밀었다. 이 방안은 당시 이낙연 총리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세종역 신설 불가’의사를 표명하고 일단락됐으나 정부가 KTX세종역 신설에 속도를 붙이면서 호남·전라선 직선화가 함께 추진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
기존 노선에 세종역이 신설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기 때문에 세종역은 세종을 분기점으로 하는 새로운 직선노선 설치로 방향을 틀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어떤 방안이든 세종역이 신설되면 오송역은 직격탄을 맞게되기에 같은 노선에 이 두 역이 공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KTX 오송역과 공주역 구간은 44㎞로 불과 14분 거리이며, 이 구간 사이에 세종역이 들어서면 공주역∼세종역, 세종역∼오송역의 거리는 각각 22㎞로 반분된다. 이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표한 고속철도 적정 역 간 거리인 57㎞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충청권에서는 세종을 경유하는 호남선 KTX의 직선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오송역은 큰 피해를 보는 반면 호남권에 사는 KTX이용객들의 편의는 대폭 증진된다. 익산갑 김수흥 의원(민주당)은 이에 더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와 호남을 연계하는 방안을 제창하고 나섰고,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이낙연 의원도 공감을 표시하면서 이 사안 또한 큰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이미 전남 정치권은 하나로 뭉쳐 전라선 KTX노선의 직선화 추진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익산역~여수엑스포역를 연결하는 전라선 KTX 직선화만 추진된다면 할 경우 그 수혜는 전남지역에 국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전북입장에서는 공동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호남선KTX직선화 요구가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으로 관측된다.
전북정치권 관계자는 “세종역 논의가 일어나면서 충남과 충북의 이익이 상충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며 “세종역 문제로 충북 내에서도 첨예한 대립이 있는 반면 호남지역의 경우 호남·전라선KTX직선화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기에 호남에 연고를 둔 의원들이 가세한다면 추진동력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고 분석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