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신흥고 <고등학생, 전주를 이야기하다> 출간
지역사회 글쓰기 프로젝트… 3개월간 취재·원고 작성
2학년 학생 9명, 지역 환경·음식·영화 등 주제 다뤄
고등학생은 바쁘다. 학교 수업을 마치면 방과후 수업, 학원으로 이어지는 고단한 삶이 이어진다. 집에 돌아가서도 마음 편히 쉬지 못한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자신이 사는 지역에 대한 관심은 피상적이며 그 역사나 문화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지나가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역 고등학생의 시각에서 전주한옥마을과 남부시장, 서학동 예술마을 등 전주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를 다룬 책이 나왔다. 전주신흥고 2학년 김지선, 노재겸, 박시우, 박찬, 백승민, 장민, 장석훈, 장하진, 최진웅 학생이 전주 곳곳을 발로 뛰면서 쓴 <고등학생, 전주를 이야기하다> 이다. 고등학생,>
그동안 전주를 다룬 책은 많지만, 고등학생의 관점에서 전주를 속속들이 다룬 책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 책에는 전주에 사는 고등학생의 입장에서 바라본 전주의 부침에 대한 안타까운 시선과 지역에 대한 자긍심이 동시에 엿보인다.
이 책은 전주신흥고에서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지역사회 글쓰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세상에 나왔다. 전주신흥고에서는 학생과 지역사회의 접점을 모색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왔다. 이 프로젝트는 미래 지역사회의 핵심인 학생들의 관심을 유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 지역사회의 새로운 변화를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실버라이트 교육문화연구소 장창영 대표의 지도 아래 학생들은 자신들이 보고 느끼고 경험했던 전주에 대한 속 깊은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학생들은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석 달 가까운 시간 동안 현장을 취재하고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원고 작성에 매달렸다.
영화감독을 꿈꾸는 학생은 마땅한 연출학원조차 없는 전주의 영화 현실에 대해 애정 어린 비판을 토로한다. 음식문화를 다룬 학생은 콩나물국밥과 비빔밥, 비빔빵으로 전주 음식문화의 연원을 맛깔스럽게 풀어놓기도 하고, 전주한옥마을과 베네치아의 골목길을 비교해나가면서 한옥마을의 진정한 매력을 찾기도 한다. 학생들은 전주한옥마을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자신만의 의견을 주장하기도 하고, ‘전프리카’(전주와 아프리카의 합성어)라 불리는 전주의 급변하는 환경 변화와 위기 대응 전략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이 책에 대해 하영민 전주시 교육장은 “내 고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현상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아 대안을 제시하는 모습이 여느 전주시민 못지않다”며 “전주 정신인 ‘꽃심’이 학생들에게 자리 잡아 꽃으로 활짝 피어나는 것 같아 뿌듯하고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