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주국제영화제 개막작 리뷰] “모든 건 제자리로 돌아가야 한다”

스르단 고루보비치 감독 <아버지의 길>
좋은 부모·국가·이웃이란 무엇인지 질문

영화 <아버지의 길> 스틸컷. 아이들을 되찾기 위해 길을 나서는 아버지 니콜라. /사진제공=전주국제영화제
영화 <아버지의 길> 스틸컷. 아이들을 되찾기 위해 길을 나서는 아버지 니콜라. /사진제공=전주국제영화제

국가가 두 자녀를 빼앗아 갔다.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개막작인 세르비아 출신 스르단 고루보비치 감독의 <아버지의 길> 이 던지는 첫 질문이다. 그리고 영화가 진행될수록 감독은 집요하게 묻는다. 좋은 부모란, 좋은 국가란, 좋은 이웃이란 무엇인지.

영화 속 아버지 니콜라는 아이들을 되찾기 위해 길을 나선다. 감독은 그가 길을 나설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계속해서 쫓는다.

세르비아의 작은 마을에 사는 두 아이의 아버지 니콜라는 가난에 허덕이는 일용직 노동자다. 아내는 아이들을 데리고 남편의 직장을 찾아가 밀린 급여를 요구하며 몸에 불을 붙인다. 이 일로 니콜라는 사회복지기관에 의해 아이들을 빼앗기고, 돌려달라고 호소하지만 묵살당한다. 결국 그는 물통 하나만 챙겨서 수도 베오그라드 중앙정부로 장관을 만나러 떠난다.

이 과정에서 국가는 집에 전기도 끊긴 그에게 ‘아동 최선의 이익’을 앵무새처럼 반복하며 보일러, 장난감, 컴퓨터 등 경제적 충족을 요구한다. 그는 단식으로 이러한 ‘국가의 폭력’에 저항한다. 아내는 분신, 남편은 단식…, 그들에겐 자신의 ‘진심’을 입증할 최선의 방법이었다.

그리고 니콜라는 꼬박 5일 동안 세르비아에서 수도 베오그라드까지 총 300㎞를 걷는다. 고속도로와 숲속을 가로지르며 걷는 그의 옆으로 자동차와 오토바이, 기차의 굉음이 부각된다. 이 소음은 300㎞를 걸어야만 하는 그의 상황과 대비되며 폭력적으로 다가온다.

그럼에도 쉴 곳을 내어주는 마트 직원, 차를 태워주는 트럭 운전자, 음식을 건네주는 시민들이 있어 니콜라는 베오그라드까지 갈 수 있었다.

그동안 세르비아 전쟁이 남긴 상흔을 영화로 담아온 감독의 족적을 생각했을 때, 이 과정들은 마치 평화를 갈구하는 모습처럼 비치기도 한다. 빈부 격차는 선진국과 후진국을 가리지 않고 일어나지만, 세르비아처럼 비교적 최근 전쟁을 겪은 나라에서는 더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감독은 <빗나간 과녁> (2001)으로 장편 데뷔한 뒤 <트랩> (2007), <써클즈> (2013)를 연출했다. <트랩> 은 세르비아를 배경으로 한 현대판 ‘죄와벌’로 불리고, <써클즈> 는 폭력의 순환을 통해 인간의 죄의식과 용서를 다룬다. 이러한 연장선에서 <아버지의 길> 은 ‘폭력의 또 다른 형태’에 대해 말하고 있는 듯하다.

영화의 압권은 마지막 10분이다. 니콜라는 집으로 돌아오지만, 집안의 세간살이는 사라졌다. 그가 영영 돌아오지 않으리라 생각한 이웃들이 모두 훔쳐 간 것이다. 니콜라는 동네를 돌아다니며 의자, 시계, 텔레비전, 인형, 소파, 식탁 등을 되찾아온다. 이 장면을 보며 확신이 들었다. 니콜라라면, 아버지라면 되돌려 놓을 것이다. 모두, 원래대로.

관련기사 ‘독립·예술영화의 향연’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개막
문민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