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서 50% 이하 낮은 투표율, 충청 권리당원 · 대의원 참여 저조
선명성 추구하는 민주당 지지층 성향과 여론조사 효과 영향 커져
호남권, 지역정치권서 모집한 권리당원 상관관계 보여줄 것 분석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승패를 결정지을 호남 선거인단의 선택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민주당 대선주자 캠프에선 호남의 권리당원과 대의원 중 허수와 실수를 가리는 작업이 관건으로 떠올랐다.
8일 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대전·충남 경선 투표 결과 전체 선거인단 수 5만2820명 중 투표자 수는 2만5564명으로 전체의 48.40%에 불과했다. 세종·충북 지역 개표 결과에서도 선거인단수 2만3803명 중 투표자 수는 1만2899명으로 투표율이 54.19%에 그쳤다.
이는 곧 선명성을 추구하는 강성 당원들의 표심이 강하게 반영되는 결과로 이어졌으며, 대선 후보를 지지하는 정치권의 조직보다는 여론조사 효과가 더 크다는 점을 방증했다.
이재명 후보가 충청에서 승리한 것도 지역정치권에서 모집한 권리당원이나 대의원이 경선승리를 견인할 것이란 기존의 전략이 먹히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전북을 비롯한 호남지역에서도 연고에 호소하는 대신 지역당원에 대한 꼼꼼한 관리와 소통이 중요해졌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조직을 동원한 단순한 지지선언이나 국회의원과 지방의원 줄 세우기를 통한 다단계식 몸집 불리기로는 선거에 적극 참여할 선거인단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도내 국회의원들 역시 활발한 권리당원 확보 등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를 찍어줄 선거인단을 확보했다고 열을 올리고 있지만, 전북 선거인단이 권리당원 7만5367명, 대의원 722명인 점을 고려할 때 이들이 전부 조직에 따라 투표할 것이란 건 성급하다는 것이다.
이는 권리당원 12만6165명, 대의원 1010명을 확보한 광주전남 지역도 마찬가지다.
결국 이전 호남경선은 지역정치권에서 모집했다고 주장한 권리당원과 실제 당원민심의 상관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줄 것이란 분석이다.
전북에선 주로 정치권에 몸담고 있는 인사의 혈연, 학연, 지연이 총 동원돼 당원을 모으는데 인적관계가 겹치면서 중복 신청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권리당원이 되려면 최소 당비 1000원을 6개월간 납부해야하는데 그 금액이 많지 않고, 가족을 당원으로 가입시켜 대리로 당비를 납부하는 경우도 있어, 권리당원 모집 성과가 곧바로 투표로 이어진다는 보장도 없다. 이는 곧 정치권에서 다단계식으로 과열 모집한 권리당원이 허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과거처럼 국회의원과 지방의원 등 지역정치 조직에 의존한 하향식 선거운동으로는 승리를 장담하기가 더 어려워진 셈이다. 이낙연 후보가 국회의원직을 던지고, 자신의 지지기반이자 정치적 뿌리인 호남을 향한 집중구애에 나선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전언이다. 특히 이낙연 캠프는 호남에서의 투표율을 최대치로 올리기 위해 당원들에게 적극 호소하고 있다.
정세균 후보도 추석연휴를 활용 전북에서 득표율을 최대한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장수출신 박용진 의원도 추석 전후 전북을 중심으로 호남에 머무르는 일정을 확정했다.
도내 민주당 권리당원 A씨는 “당원들을 다 잡는 물고기나 후보자들의 하부조직으로 보는 태도를 지양하고, 제대로 공을 들여야 그 후보를 위해 (당원들이)투표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면서“그 어느 때 보다도 겸손하고 진정성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