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첫 지역균형 뉴딜 분과회의를 개최하고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지역균형 뉴딜에 대한 재정 투자규모를 확대한다.
또한 지자체 주도 체감형 뉴딜사업도 본격 추진할 계획이면서 전북형 뉴딜 추진에 속도감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안전부는 9일 17개 시·도와 관계부처가 영상회의로 참석한 가운데 ‘제6차 지역균형 뉴딜 분과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는 △한국판 뉴딜 분과별 추진성과 및 2022년 실행계획 △2022년 정책형 펀드 지역투자 활성화 계획 △2022년 지역균형 뉴딜 추진 계획이 발표됐다.
우선 정부는 올해 지역균형 뉴딜 정부예산 규모 13조 1000억 원을 확보해 지자체 주도 우수사업에 대한 총 450억 원 규모의 특교세를 63개 지자체에 지원한다.
지자체 주도 우수 사업 발굴은 상반기 중 지자체 주도 15개와 하반기 주민주도형 48개로 발굴될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 지역 중심의 한국판 뉴딜 확산 가속화를 위해 지역 성장동력 중심으로 지자체 핵심 신규 사업을 발굴해 컨설팅 및 내년도 정부예산안 반영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도 정부는 2023년 정부예산안에 지역균형 뉴딜에 대한 재정 투자규모 지속 확대를 추진해 한국판 뉴딜 지역확산을 가속한다는 방침이다.
전북도는 현재 ‘그린뉴딜 1번지, 생태문명의 수도 전라북도’를 비전으로 9대 분야 27개 중점과제, 8대 대표 브랜드 사업을 담은 ‘전북형 뉴딜’을 추진하고 있다.
전북형 뉴딜은 오는 2025년까지 총 20조 7800억 원을 투자해 ‘재생에너지 2550 실현’, ‘디지털산업 2배 성장’, ‘일자리 21만 8000개 창출’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및 사업으로 구성됐다.
특히 전북도는 27개 과제 중 올해 정부의 지역균형 뉴딜 가속화 방침에 따라 재생에너지 산업클러스터와 디지털 종자·식품산업 혁신 플랫폼 구축,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 구축 등 3가지 대표 사업을 발굴해 정부로부터 컨설팅,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반영될 수 있게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나머지 뉴딜 사업들의 경우 향후 정부의 지원 방침에 발맞춰 적극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아직까지 특교세 지원과 관련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되지 않은 상황으로 향후 관련 내용이 발표되면 대응해 전북형 뉴딜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며 “이와 함께 자체적인 컨설팅 등을 통해 뉴딜 사업 실행에 대한 점검과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신규 사업으로 반영하는 등의 노력을 진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행전안전부는 이번 분과회의에서 지난해 선정된 지역균형 뉴딜 지자체 우수 사업을 안내했는데 지역에서는 전북도 케나프기반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및 산업화 사업이 소개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