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6:27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정치일반
일반기사

강골 검사에서 대통령까지…윤석열 당선인이 걸어온 길

image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사진=연합뉴스

헌정사상 첫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 국회의원 경험이 없는 '0선' 대통령 등 윤석열 당선인은 정치에 입문한 지 1년도 안 돼 대통령이 되며 한국 정치사에 한 획을 그었다. 강골 검사에서 대통령이 되기까지, 윤석열 당선인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본다.

윤석열 당선인은 1960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아버지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 어머니 최정자 전 이화여대 교수 사이에서 태어났다. 교육자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난 그는 유복한 성장기를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 당선인은 실용적인 학문을 공부했으면 좋겠다는 아버지 뜻에 따라 1979년 서울대 법대에 진학했다. 당시 윤 당선인의 꿈은 검사가 아닌 법대 교수였다. 사법고시에 도전한 것은 교수도 실무 경험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서였다고 한다. 그는 1991년 9번의 도전 끝에 사법고시에 합격하며 검사의 길을 걷게 됐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 조윤선 전 장관 등이 사법연수원 23기 동기들이다.

34세의 늦은 나이 검찰 생활을 시작한 윤 당선인은 원칙주의를 앞세워 검사로서 승승장구했다. 그의 강골 기질이 잘 드러난 예로는, 1999년 김대중 정부 경찰 실세인 박희원 경찰청 정보국장을 뇌물 수수 혐의로 구속한 것이 회자된다.

윤 당선인은 2002년 잠시 검찰을 떠나 1년간 법무법인 태평양에서 변호사 생활을 하기도 했다. 검찰로 복귀한 윤 당선인은 2003년부터 권력 핵심을 상대로 한 대형 수사를 맡으며 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그의 이름을 국민들에게 알린 것은 박근혜 정부 첫해인 2013년 국정원 댓글 사건의 수사팀장을 맡았을 때다. 그는 원세훈 국정원장을 수사하다 검찰 수뇌부를 비롯한 황교안 법무부 장관 등과 마찰을 빚었고 업무에서 배제됐다. 윤 당선인은 국정감사장에서 국정원 댓글 사건과 관련해 윗선의 외압이 있었다고 폭로했다. 이 자리에서 "나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라는 말을 남기며 대중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윤 당선인은 이 일로 정직 1개월의 징계를 받고 수원지검 여주지청장에서 대구고검 평검사로 좌천됐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터진 뒤, 윤 당선인은 박영수 특검의 수사팀장으로 합류했다. 당시 박근혜, 최순실, 이재용이 모두 구속 수감되면서 특검은 성공적이라는 평가와 함께 마무리됐다.

2017년 취임한 문 대통령은 윤 당선인을 검찰 수사의 핵심인 서울중앙지검장에 임명했다. 2019년 7월에는 검찰총장으로 임명했다. 전임 총장보다 다섯 기수를 뛰어넘은 파격적인 인사였다.

이후 윤 당선인은 조국 민정수석, 추미애 법무부 장관 등 현 정부를 상징하는 인물들과 대립하면서 야권의 대선 주자로 급부상했다. 추 장관이 자신에 대한 징계를 추진하자 윤 당선인은 지난해 3월 검찰총장직을 사퇴했다. 같은 해 6월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고, 한 달 뒤 국민의힘에 입당했다. 11월에는 야당 대선 주자로 공식 선출됐다. 그리고 제20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석열 #대통령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